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역사와 현황 분석
I. 서론
A. 동대문구 맥락에서의 사회적경제 정의
사회적경제(Social Economy)는 이윤 극대화를 최우선으로 하는 전통적인 시장경제와 달리, 사람과 공동체의 가치를 우위에 두고 사회적 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경제 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이다.1 이는 국가와 시장의 경계에서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 자조를 바탕으로 재화나 용역의 생산, 교환, 분배, 소비 활동을 통해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 발전이라는 사회적 가치(Social Value)를 창출하는 민간의 모든 경제적 활동을 의미한다.1
사회적 가치의 구체적인 내용은 인간 존엄성 유지 및 인권 신장,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지역사회 재생 및 활성화, 사회적 약자의 사회통합, 공동체 이익 실현, 윤리적 생산과 유통, 환경의 지속가능성 보전 등 사회·경제·환경·문화적 영역 전반에 걸쳐 공익적 성과를 포괄한다.5 이러한 사회적 가치 추구는 사회적경제 조직 운영의 핵심 원칙으로 작용하며, 민주적이고 참여적인 의사결정 구조, 투명하고 윤리적인 경영, 이익의 사회적 목적 우선 사용 등을 통해 실현된다.4
한국의 법률 및 정책 체계 내에서 사회적경제 조직은 일반적으로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 협동조합(Cooperative, 사회적협동조합 포함), 마을기업(Village Enterprise), 자활기업(Self-Sufficiency Enterprise) 등을 포함한다.1 최근에는 혁신 기술과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소셜벤처(Social Venture) 역시 사회적경제의 중요한 주체로 주목받고 있다.8 이러한 다양한 조직들은 각기 다른 법적 근거와 주무 부처를 가지지만, 사회적 가치 추구라는 공통의 목표 아래 활동한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는 이러한 국가적, 서울시 차원의 사회적경제 정의와 정책 틀 안에서 운영된다. 특히 2017년 제정된 자체 조례를 통해 지역의 특성과 필요에 맞는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조성하고 지원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이는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발전 방향과 지원 정책의 기초가 되고 있다.13 사회적경제의 정의가 단일하지 않고 다양한 측면을 포괄한다는 점은 동대문구 내 다양한 조직과 활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출발점이다. 각 조직 유형은 고유한 특성과 법적 기반을 가지면서도, 사회적 가치 창출이라는 공통분모를 통해 '사회적경제'라는 큰 틀 안에서 상호 연관성을 맺고 있다.
B. 보고서의 의의 및 목적
사회적경제는 경제 성장 과정에서 심화된 양극화, 고용 불안정, 지역 공동체 약화 등 기존 시장경제 시스템과 공공부문이 온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대안적 접근 방식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1 특히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필수적인 사회 서비스 제공, 지역 공동체 활성화 등 지역 기반의 문제 해결에 있어 사회적경제 조직들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에서 사회적경제의 제도적 기반 마련과 정책적 지원은 비교적 최근인 200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되었다.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정을 시작으로, 2010년대 초반 마을기업 육성 사업과 2012년 「협동조합 기본법」 제정 등이 이어지면서 사회적경제 조직의 설립과 활동을 위한 법적, 제도적 환경이 조성되었다.1 이러한 정책적 흐름은 사회적경제가 단순히 자선이나 복지의 영역을 넘어, 지속가능한 경제 활동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혁신적인 모델로 인식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를 대상으로 사회적경제의 역사적 발전 과정, 현재 생태계 현황, 주요 지원 시스템과 정책, 대표적인 성과와 당면 과제, 그리고 향후 발전 방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현주소를 명확히 파악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보고서는 동대문구의 사회적경제 정책 입안자, 관련 연구자 및 학생, 현장 활동가 등에게 사회적경제 분야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해도를 높이고 관련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I.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발전 과정
A. 태동기: 초기 영향과 활동 (2017년 조례 제정 이전)
동대문구에서 사회적경제에 대한 공식적인 조례가 제정되기 이전에도,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체 기반의 경제 활동이나 초기 형태의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 시기 동대문구만의 특화된 사회적경제 활동에 대한 기록은 제한적이다. 다만, 국가 및 서울시 차원의 정책 변화가 동대문구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시기로 볼 수 있다.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정, 2010년 이후 마을기업 육성사업 시작, 2012년 「협동조합 기본법」 제정 등은 전국적으로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관련 조직 설립의 기반을 마련했다.1
동대문구 차원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춘 초기 활동들이 나타났다. 2011년에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이 제정되어 사회적기업 지원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17, 2014년에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창업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등 21 초기 인큐베이팅 노력이 있었다. 2015년에는 '사회적경제 청년기획단' 공모 22 및 '사회적경제 청년 아카데미' 개최 24 등을 통해 청년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아이디어를 모색했다. 또한, 같은 해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공모전'을 통해 교육/돌봄, 문화예술, 먹거리, 주거, 환경 등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 주도 사업 아이템 발굴을 시도했으며 25, 상반기에는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직거래 장터를 16차례 열어 약 1,170만 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초기 판로 개척 지원도 이루어졌다.26 이러한 활동들은 동대문구가 자체적인 종합 조례 제정 이전에 이미 사회적경제 육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사회적경제 조직들 간의 자발적인 연대 움직임도 나타났다. 2012년 ‘동대문구 사회적기업협의회’가 만들어졌으며 2013년 ‘동대문지역협동조합협의회’의 활동을 시작하였다. 2016년 6월에는 '동대문 사회적경제 네트워크'(동사경넷)가 설립되어 활동하였다.28 이는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신협, 생협 등을 주축으로 설립되어 지역 내 사회적경제 주체 간 교류와 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하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29 동대문구 사회적적경제지원센터의의 최근영 센터장이 이끌었던 ‘동대문지역협동조합협의회’ 역시 이러한 초기 네트워크 형성 과정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0 비록 금천구(2011년 센터 설립) 등 일부 자치구에 비해 동대문구의 공식적인 지원체계 구축은 다소 늦었지만 20, 조례 제정 이전 시기에도 정부 정책의 영향 아래 구청의 지원 사업과 민간 조직들의 자발적 활동이 병행되며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기초가 다져지고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B. 제도화 및 인프라 구축: 2017년 조례 제정과 지원센터 설립 (2018년)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은 2017년 관련 조례 제정과 2018년 지원센터 설립으로 마련되었다. 2017년 11월 16일,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조례 제1199호)가 제정되었다.13 이 조례는 동대문구 내 사회적경제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목적으로, 사회적경제의 기본 원칙과 관련 주체들의 역할을 규정하고 정책 추진의 법적 근거를 명확히 했다.13
조례의 주요 내용은 사회적경제 및 관련 조직(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의 정의, 지원 대상(동대문구 내 주사무소를 둔 사회적경제 조직 및 지원 기관/단체), 지원 내용(행정 지원, 컨설팅, 판로 확대, 네트워크 구축, 교육·홍보 등), 그리고 중요 사항 심의를 위한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육성위원회' 설치 등을 포함한다.13 이는 산발적으로 이루어지던 지원 활동을 체계화하고, 구 차원의 일관된 정책 추진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조례 제정에 이어 2018년에는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물리적 거점 역할을 할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허브센터'가 답십리로38길 19에 위치한 공동제조사업장 건물 2층에 조성되었다.31 약 2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350.55㎡ 규모로 조성된 이 센터는 사회적경제 기업 사무실 5실, 인큐베이팅 룸, 공동회의실, 교육장, 코워킹스페이스 등을 갖추어 사회적경제 조직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물리적 공간과 인프라를 제공했다.31 이 허브센터의 운영은 '사회적협동조합 동사경센터'가 맡아 수행하게 되었다.30
이처럼 2017년 조례 제정과 2018년 허브센터 설립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발전에 있어 제도적 틀과 물리적 구심점을 동시에 마련한 결정적인 단계였다. 이는 사회적경제 조직에 대한 지원을 보다 체계적이고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으며, 이후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과 네트워킹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는 토대가 되었다.30 최근영 센터장 역시 인터뷰에서 센터 설립 초기에 제도적(조례) 및 공간적(센터) 인프라 구축이 가장 중요한 과제였음을 언급한 바 있다.30 이러한 인프라 구축은 사회적경제 조직의 양적 성장을 촉진하고, 나아가 질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평가된다.
C. 주요 이정표 및 변화 (2018년 이후)
2018년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허브센터 설립 이후, 사회적협동조합 동사경센터(이하 동사경센터)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들이 추진되며 생태계는 점차 구체적인 모습을 갖추어 나갔다. 동사경센터는 허브센터 공간을 활용한 사무공간 제공 및 인큐베이팅 기능 외에도 31, 경영, 마케팅, 회계, 노무 등 분야별 전문 컨설팅 제공 13,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창창캠퍼스', 'BEGIN 과정' 등) 및 주민 대상 교육 운영 24, 네트워킹 파티 및 워크숍 개최 29, 대표적인 판로 지원 사업인 '잇다마켓' 운영 29, 청년 참여 활성화 사업 23, 지역 일자리 창출 사업('DDM 일자리발전소') 29, 소상공인의 사회적경제 전환 지원 프로젝트 68 등 광범위한 활동을 전개했다.
이러한 활동의 결과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성장 과정은 2018년부터 2024년까지 매년 발간된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백서'와 2022년 '동사경 성과보고서'를 통해 기록되고 공유되었다.62 이 백서들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발전 과정을 추적하고 성과를 평가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2024년에는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었다. 기존의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가 '동대문구 ESG경제지원센터'로 명칭을 변경한 것이다.74 이는 기존 사회적경제 지원 업무에 더해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포괄하는 ESG 관련 교육 및 사업을 추가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74 이 변화는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ESG 경영 트렌드에 발맞추어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도록 지원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을 수 있다. 센터는 이미 ESG 아이디어톤 개최 75, ESG 관련 교육 홍보 47 등 관련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명칭 변경과 기능 확대는 잠재적인 우려도 내포한다. ESG는 사회적경제와 일부 가치를 공유하지만, 강조점(예: 환경 및 지배구조)과 대상(주로 기업)에서 차이가 있다. 사회적경제가 중시하는 민주적 운영, 조합원 참여, 사회적 가치 우선 등의 고유한 특성이 상대적으로 희석될 가능성이 있으며, 지원 자원 배분이나 정책 방향 설정에서 기존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소외될 수도 있다. 특히 2022년 부터 사회적경제 분야의 예산 삭감 및 지원 정책 축소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 상황에서 77, ESG로의 전환이 자원 제약 속에서 이루어지는 정책적 방향 수정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변화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생태계에 미칠 장기적인 영향은 지속적인 관심과 분석이 필요하다.
한편, 동대문구청 내 사회적경제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명도 변화를 거듭했다. 초기 '일자리창출과' 51에서 '일자리청년과' 74를 거쳐, 현재는 '청년정책고용과'에서 ESG 및 사회적경제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46
III.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A. 사회적경제 조직 프로필
동대문구의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조직들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데 필수적이다. 동대문구청에서 제공하는 가장 최신 자료(2024년 기준 추정)에 따르면, 유형별 사회적경제 조직 현황은 다음과 같다.83
표 1: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조직 현황 (유형별)
| 유형 | 수 | 출처 / 기준 시점 |
| :----------------------- | :-: | :------------------ |
| 인증 사회적기업 | 14 | 83 / ~2024 |
| 예비 사회적기업 | 9 | 83 / ~2024 |
| 마을기업 | 3 | 83 / ~2024 |
| 협동조합 (일반) | TBD* | coop.go.kr / 2024 |
| 사회적협동조합 | TBD* | coop.go.kr / 2024 |
| 자활기업 | TBD* | (외부 자료 필요) |
| 합계 (명시된 유형) | 26+ | |
*참고: 협동조합의 경우, 2018년 기준 88개로 파악되었으나 31, 현재 정확한 수는 기획재정부 협동조합 홈페이지(coop.go.kr) 또는 2023년 서울시 실태조사 79 결과 확인이 필요하다. coop.go.kr 사이트 자체는 동대문구별 통계를 직접 제공하지 않으며 84, 엑셀 다운로드를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91 자활기업에 대한 정보는 제공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동대문 사회적경제 네트워크(동사경넷)에는 2025년 1월 기준 약 50여 개 조직이 참여하고 있어 92, 공식 등록된 조직 수와 실제 활동 중인 조직 수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표는 동대문구 내 공식적으로 인·지정된 사회적경제 조직의 규모를 보여준다. 특히 인증 및 예비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의 수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2020년 기준 동대문구 전체 사업체 수가 43,029개소인 점을 감안하면 93, 사회적경제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사회적경제 부문의 양적 성장이 더 필요함을 시사하는 동시에, 각 조직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질적 영향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조직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주요 활동 분야를 예시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육/서비스: (사)사랑의자전거(자전거 수리/교육), ㈜빌라노(장학금 플랫폼 '드림스폰') 83
사회복지/돌봄: (사)우리사랑복지원(요양보호사 파견), 한국예술상담협동조합(상담), 죠이풀 사회적협동조합(문화소외계층 프로그램), 사회적협동조합 혜민서(어르신 반찬/안부 확인, 작은 장례), 사회적협동조합 되돌림(어르신 도시락 배달), 꾸마시협동조합(발달장애인 부모 협동조합) 83
주거/건축: ㈜새암(실내건축), 아이부키㈜(사회주택 공급/운영) 83
경비/시설관리: ㈜프라임서비스(건물관리/청소) 83
제조/공예/패션: 한국패션 사회적협동조합(단체복 제조/교육), ㈜제리백(가방 제작/판매), ㈜블루밍(천연 염색 제품) 83
식품/음료/공정무역: 카페오아시아 사회적협동조합(공정무역 커피) 83
지역 미디어/커뮤니티: 문화플랫폼 시민나루 협동조합(마을미디어) 96
지역재생/커뮤니티 공간: 사회적협동조합 녹원(찻집 운영, 로컬 브랜딩), 휘경어울림협동(카페 운영, 지역재생 활동) 95
시장 활성화: 레츠고경동협동조합(경동시장 청년몰, 야시장 운영) 95
이처럼 동대문구 사회적경제는 교육, 복지, 주거, 제조, 문화, 지역 활성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지역사회의 필요에 부응하며 활동하고 있다. 특히 청년 주도의 혁신적인 사업 모델(드림스폰, 녹원 등)과 지역 재생 및 커뮤니티 기반 활동이 눈에 띈다.
B. 지원 시스템 및 주요 행위자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생태계는 중간지원조직, 지방정부, 민간 네트워크 등 다양한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지되고 발전한다.
1. 동대문구 ESG경제지원센터 (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핵심적인 중간지원조직 역할을 수행한 곳은 '동대문구 ESG경제지원센터'이다. 센터는 2024년 까지지 '사회적협동조합 동사경센터'가 운영하였으며 30, 2025년 부터 동대문구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다. 주요 활동 공간인 허브센터는 답십리동(답십리로 38길 19)에 위치하고 있다.31
2024년 까지 센터의 주요 기능은 매우 포괄적이였다. 사회적경제 조직을 위한 사무공간 제공 및 초기 창업 보육(인큐베이팅) 31, 경영·마케팅·회계·노무 등 분야별 맞춤형 컨설팅 제공 13, 사회적경제 아카데미·주민 교육·청년 프로그램·디지털 기술(AI, 메타버스 등) 교육 등 역량 강화 지원 24, '잇다마켓'과 같은 판로 개척 및 마케팅 지원(공공구매 지원, 라이브커머스 등 온라인 홍보 포함) 29, 조직 간 교류·협력을 위한 네트워킹 행사(네트워크 파티 등) 개최 29, 창업 아이디어 공모전·소상공인 전환 지원 등 신규 조직 발굴 및 육성 50, 뉴스레터·웹사이트·SNS·알림톡 서비스 등을 통한 정보 제공 및 홍보 40, 그리고 최근에는 ESG 경영 도입 지원까지 74 그 역할을 계속속 확대하였였다. '잇다마켓', '주민기술학교', 'ESG 아이디어톤', '사회적경제 주민교육', '맞춤형 컨설팅' 등은 센터가 운영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였다.34 이처럼 센터는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조직들의 설립부터 성장, 판로 개척, 역량 강화, 네트워크 구축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필수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하였다.
2. 동대문구청의 역할
동대문구청은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 재정 지원, 행정적 지원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2017년 제정된 「사회적경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는 구청의 역할과 책무를 규정하는 기본 틀이다.13 구청은 매년 사회적경제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고 (비록 공개 여부는 불확실하나 2021년, 2022년 계획의 존재는 언급됨) 103, ESG경제지원센터 운영 및 관련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을 지원한다.31 또한, 사회적경제 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 사업비를 지원하였다. 44 공공기관 우선구매 제도 활성화를 통해 사회적경제 조직의 판로를 지원하는 것 역시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5
현재 사회적경제 및 ESG 관련 업무는 '청년정책고용과'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46, 이는 이전의 '일자리창출과' 또는 '일자리청년과'에서 이어진 것으로 51, 사회적경제가 동대문구청 추진 사업에서 주목도가 떨어졌음을 보여준다. 현, 이필형 구청장이 제시한 '4N CITY'(교육, 문화, 동행, 미래도시) 비전 108과 사회적경제 정책 간의 구체적인 연계성이나 시너지 창출 방안은 확인되지 않는는다.
3. 동대문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동사경넷)
동사경넷은 동대문구 내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연합체로, 조직 간 교류와 협력, 공동사업 추진, 상호부조 등을 목적으로 활동한다.5 2025년 1월 기준 약 50여 개 조직이 참여하고 있으며 92, 역사적으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신협, 생협 포함) 등이 주축이 되어 형성되었다.29 네트워크는 정기적인 네트워킹 행사(파티, 워크숍 등)를 통해 조직 간 유대감을 강화하고 29, 공동 마케팅이나 사업을 추진하며,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등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사경넷은 지원센터, 구청과 함께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한 축으로서, 민간 주체들의 자율적인 협력과 연대를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해왔왔다.
C. 지역 특화 사업 및 성공 사례 조명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역동성을 보여주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지역 특화 사업 및 성공 사례는 다음과 같다.
1. 빌라노㈜ / 드림스폰 (Dreamspon)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대표적인 청년 창업 성공 사례로 꼽히는 빌라노㈜는 장학금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사회적기업이다.110 경희대학교 창업동아리에서 시작하여 111, 전국 장학금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플랫폼 '드림스폰'을 개발·운영하고 있다.94 단순 정보 제공을 넘어, 기업이나 개인이 소액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드림장학'(예: 족발장학, 재능응원 장학) 캠페인을 기획하여 장학금의 개념을 확장하고 기부 문화를 확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94 빌라노는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허브센터에 입주하여 활동하며 112, 초기 서울시 사회적경제 혁신형 사업 지원을 받는 등 110 지역 지원 시스템을 발판 삼아 성장했다. 이는 청년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정보기술(IT)과 결합하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2. 사회적협동조합 녹원 (Nokwon)
사회적협동조합 녹원은 경희대학교 인근에서 30년 넘게 운영되다 폐업 위기에 처했던 전통찻집 '녹원'을 대학생들이 '녹원 재건 프로젝트'를 통해 되살린 사례이다.97 단순한 찻집 운영을 넘어, 지역 농가와 연계하여 국산 재료를 활용한 메뉴를 개발하고(도농상생) 117, 지역 주민과 대학생을 연결하는 커뮤니티 프로그램(원데이 클래스, 토크 살롱 등)을 운영하며 117, 청년들의 사회혁신 실험실이자 로컬 브랜딩 거점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53 녹원은 청년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동을 통해 지역의 역사적 공간을 보존하고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모델을 제시하며, 쇠락하는 대학가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하고 있다.95
3. 지역 기반 돌봄 서비스 연계
동대문구는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 특성상 93 돌봄 서비스 수요가 크다. 이에 대응하여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전농2동 래미안아름숲아파트에서는 주민들이 '공동주택 같이살림 프로젝트'를 통해 단지 내 아이 돌봄 수요를 자체적으로 해결하는 모델을 구축했다. 주민 돌보미를 양성하고 전용 앱을 통해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웃 간 신뢰를 바탕으로 한 안전하고 편리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며 동시에 주민 일자리도 창출하고 있다.123 또한, 사회적협동조합 혜민서는 홀몸 어르신 반찬 나눔 및 안부 확인, 고독사 예방 활동 등을 펼치고 있으며 95, 사회적협동조합 되돌림은 어르신 도시락 배달 사업을 오랫동안 수행해왔다.95 이 외에도 한국예술상담협동조합(상담), 죠이풀 사회적협동조합(문화소외계층 프로그램), 꾸마시협동조합(발달장애인 지원) 등 다양한 조직들이 지역의 돌봄 공백을 메우는 데 기여하고 있다.95 이러한 활동들은 사회적경제가 지역사회 복지 시스템을 보완하고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 잇다마켓 (Itda Market)
동사경센터 주관하는 '잇다마켓'은 동대문구를 대표하는 플리마켓으로 자리 잡았다.29 배봉산 근린공원 등에서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이 마켓은 지역 내 사회적경제 기업, 소상공인, 수공예 작가 등에게 제품 판매 및 홍보 기회를 제공하고, 주민들에게는 다양한 상품과 체험(페이스페인팅, 캐리커처 등)을 즐길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56 잇다마켓은 단순한 판매 행사를 넘어,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고 지역 공동체가 교류하는 소통의 장으로서 기능하며, 사회적경제에 대한 주민 인지도를 높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성공적인 플랫폼으로 평가받는다.29
이러한 사례들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가 청년 주도의 혁신, 지역 자원 활용, 공동체 기반 서비스 제공, 판로 개척 지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지역 대학과의 연계(경희대, 시립대 등)를 통한 청년 인재 유입 및 산학 협력 29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두드러진 특징이자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IV. 도전과제, 기회 및 향후 전망
A. 현안 과제
동대문구 사회적경제는 꾸준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여러 과제에 직면해 있다.
첫째, 재정적 불안정성 및 정책 환경 변화는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이다. 최근 사회적경제 관련 정부 예산이 대폭 삭감되고 126 지원 정책이 축소되는 경향은 77 개별 조직의 운영 안정성을 위협하고 새로운 사업 추진을 위축시킬 수 있다.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기업 대상 설문조사에서도 예산 감소(82%)와 지원 정책 축소(45%)가 가장 큰 변화로 지적되었다.77 특히, 사회적기업가 육성 사업비 축소 126 등은 신규 기업 진입과 혁신 동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2024년 사회적경제지원센터의 ESG경제지원센터로의 전환과 2025년 센터의 직영전환환이 가져올 정책 방향 변화와 그 영향도 아직 불확실하다.
둘째,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약화 우려가 제기된다. 예산 삭감 및 정책 변화는 중간지원조직의 운영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설문 응답자의 73%가 지원조직 운영 중단을 가장 큰 문제로 꼽은 것은 77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축소가 현장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원센터의 기능 약화는 컨설팅, 교육, 네트워킹 등 생태계 전반의 지원 시스템 약화로 이어져 조직들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셋째, 안정적인 시장 확보 및 규모화의 어려움은 여전히 많은 사회적경제 조직이 겪는 고질적인 문제이다. 공공기관 우선구매 제도가 존재하지만 5, 실제 구매 연계가 원활하지 않거나 경쟁 심화로 인해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 일반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및 판로 다각화, 사업 규모 확장을 위한 자금 조달 등도 중요한 과제이다. 잇다마켓과 같은 판로 지원 사업 56이나 맞춤형 컨설팅 44이 제공되고 있지만, 보다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지원책 마련이 요구된다. 2017년 구청장 간담회에서도 판로 개척의 어려움이 언급된 바 있다.127
넷째, 네트워크 및 협력 강화의 필요성이다. 동사경넷과 같은 네트워크 조직이 활동하고 있고 29, 대학-기업 간 협력 사례도 있지만 125, 조직 간 실질적인 공동사업 추진이나 전략적 연대 활동은 아직 부족한 측면이 있다. 특히 최근의 정책 환경 변화 속에서 네트워크 약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77, 단순한 교류를 넘어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시너지 창출과 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 체계 강화가 시급하다.29
다섯째, 사회적경제에 대한 낮은 인지도 및 이해 부족 문제도 지속적인 과제이다. 지원센터의 교육 및 홍보 노력에도 불구하고 29, 여전히 많은 주민과 일반 기업에게 사회적경제는 생소한 개념일 수 있다.30 이는 사회적경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소비 저변 확대나 지역사회의 지지 확보에 어려움으로 작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특정 산업 분야의 구조적 문제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동대문구가 강점을 가진 봉제 산업 분야에서 사회적경제 모델을 적용하려 해도, 기술 이전의 어려움과 고령화된 인력 구조, 신규 인력 유입 부족 등의 문제로 활성화에 한계가 있다.128
B. 새로운 동향 및 기회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동대문구 사회적경제는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첫째, ESG 경영 트렌드와의 연계는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다. 지원센터의 명칭 변경 74은 이러한 흐름을 반영한 것으로,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ESG 가치를 내재화하고 이를 경영 전략에 통합함으로써 기업 이미지 제고, 투자 유치, 새로운 파트너십 구축 등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동사경경센터 주관의 ESG 아이디어톤 75 등은 이러한 연계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였다.
둘째,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사회적경제 조직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사업 모델을 창출할 기회를 제공한다. 라이브커머스 등 온라인 마케팅 활용 70, AI 및 메타버스 기술 교육을 통한 역량 강화 34, 드림스폰과 같은 온라인 플랫폼 기반 서비스 개발 94 등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혁신 사례이다.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기업 설문에서도 디지털 전환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64%) 및 운영 효율성 증가(27%)에 대한 기대가 높게 나타났다.77
셋째, 지역재생 사업과의 시너지 창출 가능성이다. 고대앞마을 등 동대문구 내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역 129이나 휘경동, 청량리, 답십리리 등 지역재생 활동이 활발한 곳 95에서 사회적경제 조직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주거 환경 개선, 지역 상권 활성화, 공동체 회복 등에 기여하였다.21 이는 사회적경제의 지역 밀착성을 강화하고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넷째, 활발한 청년 참여와 혁신 역량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중요한 자산이다. 빌라노, 녹원, 몽땅 등 청년들이 주도하는 성공 사례 94에서 볼 수 있듯이, 청년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열정은 사회적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청년 대상 창업 지원, 교육 프로그램, 네트워크 활동 등을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23 이들의 혁신 역량을 사회적경제 발전의 동력으로 활용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사회 문제 해결 수요 증대이다. 고령화 심화에 따른 노인 돌봄 74, 맞벌이 가구 증가로 인한 아동 돌봄 123,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 증대 101 등 지역사회의 다양한 문제 해결 수요는 사회적경제 조직들에게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돌봄/복지(45%)와 지역순환경제(27%)는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기업들이 주목하는 주요 사회적 과제로 나타났다.77 이러한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혁신적인 서비스와 제품 개발이 요구된다.
C.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략 방향 및 제언
동대문구 사회적경제가 당면한 과제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회를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적 방향 설정과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재정적 자립 기반 강화가 필수적이다. 정부 지원 축소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수익 모델 다각화(설문 응답자의 45%가 주요 전략으로 고려) 77, 사회적 금융(Social Finance) 활용 방안 모색 9, 민간 기업과의 파트너십 강화(설문 응답자의 27%가 주요 전략으로 고려) 77 등을 통해 재정적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ESG경제지원센터의 맞춤형 경영 컨설팅 44과 판로 개척 지원 56 기능이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협력과 연대의 내실화가 요구된다. 동사경넷을 중심으로 조직 간 정보 공유, 공동 사업 추진, 정책 제언 등 실질적인 협력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5 또한, 대학, 연구기관, 일반 기업, 시민사회 등 외부 행위자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자원 연계 및 시너지 창출을 도모해야 한다.
셋째, ESG 전환 과정의 연착륙 지원이 중요하다. 서울시와 동대문구청은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ESG 개념을 이해하고 경영에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실질적인 지원(교육, 컨설팅, 지표 개발 등)을 제공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사회적경제 고유의 가치(사회적 미션, 민주적 운영 등)가 훼손되지 않도록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
넷째, 지속적인 역량 강화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 역량(AI, 데이터 활용 등) 34, 전문 경영 능력(재무, 마케팅, 인사 등) 51, ESG 경영 및 사회적 가치 측정 역량 등에 대한 맞춤형 교육과 컨설팅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사회와의 연계 강화를 통해 사회적경제의 뿌리를 더욱 깊게 내려야 한다. 지역 주민의 필요(돌봄, 환경, 문화 등)에 기반한 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95, 지역 자원(대학, 전통시장, 유휴 공간 등)을 적극 활용하며 29, 지역 내 소비 촉진(로컬 소비 캠페인 등)을 통해 지역 순환 경제 구조를 만들어가야 한다.
여섯째, 지속적인 정책 대화 및 제도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적경제 조직, 지원센터, 구청 간의 정기적인 소통 채널을 유지·강화하여 37 현장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조례 개정 136, 공공구매 활성화 방안 구체화, 사회적 금융 접근성 제고 등 제도적 기반 확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137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기업 설문에서도 자립적 생태계 구축(36%)과 제도적 기반 확충(27%)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방향으로 제시되었다.77
궁극적으로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지속가능성은 외부 지원에 의존하기보다 내부 역량 강화와 협력을 통해 '자립적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달려있다.77 위에서 제시된 전략 방향들은 이러한 자립적 생태계 조성을 위한 핵심 요소들이다.
V. 결론
A.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여정 요약
동대문구의 사회적경제는 2010년대 초중반 국가 및 서울시 정책의 영향 아래 초기 활동을 시작하여, 2015년경 청년 참여 유도 및 판로 개척 등 구체적인 사업들이 나타나며 태동기를 거쳤다. 2017년 「사회적경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과 2018년 '사회적경제 허브센터' 설립은 제도적 기반과 물리적 거점을 마련하며 본격적인 성장기로 진입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후 사회적협동조합 동사경센터를 중심으로 인큐베이팅, 컨설팅, 교육, 판로 지원(잇다마켓 등), 네트워킹 등 종합적인 지원 시스템이 가동되었으며, 특히 청년 창업 지원과 지역사회 문제 해결(돌봄, 재생 등)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특화 사업들이 추진되었다. 이러한 과정과 성과는 매년 발간된 사회적경제 백서를 통해 기록되었다. 2024년에는 지원센터가 'ESG경제지원센터'로 명칭을 변경하며 ESG 가치 통합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현재 동대문구 사회적경제는 인증/예비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 공식 인정 조직 수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협동조합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B. 역할과 미래 잠재력에 대한 제언
동대문구 사회적경제는 지역 내 일자리 창출, 취약계층 지원, 돌봄 서비스 제공, 공동체 활성화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며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특히 청년들의 혁신적인 참여와 지역 자원을 활용한 창의적인 사업 모델들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이다.
그러나 현재 동대문구 사회적경제는 정부 예산 삭감과 정책 변화라는 외부 환경의 도전과 함께, 내부적으로는 재정 자립, 시장 확대, 네트워크 강화, ESG 전환 적응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전환기적 어려움 속에서도 디지털 전환, ESG 경영 도입, 지역재생 연계, 돌봄 경제 확대 등 새로운 기회 요인 또한 분명히 존재한다.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미래는 이러한 도전과 기회 속에서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을 어떻게 구축하느냐에 달려있다. 핵심은 외부 지원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내생적인 발전 동력을 강화하는 '자립적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다.77 이를 위해서는 개별 조직의 역량 강화는 물론, 조직 간의 실질적인 협력과 연대를 심화하고, 새로운 흐름을 사회적경제의 본질적 가치와 조화롭게 통합하고,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지역사회의 필요에 더욱 밀착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동대문구 사회적경제는 지난 10여 년간 의미 있는 성장을 이루어왔으며, 지역사회의 중요한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당면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혁신과 협력, 지역 밀착성을 강화한다면, 동대문구가 지향하는 '행복을 여는 도시'를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더욱 밝은 미래를 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속적인 관심과 체계적인 지원, 그리고 사회적경제 주체들의 끊임없는 노력이 동반될 때 그 잠재력은 온전히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사회적경제란 - 여수시사회적경제마을통합지원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yssec.kr/info/
사회적경제란? - 개념과 현황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ocialenterprise.or.kr/social/econ/concept.do?m_cd=E021
사회적경제 정의 - 전남상사 사회적협동조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jnsecoop.or.kr/%EC%82%AC%ED%9A%8C%EC%A0%81%EA%B2%BD%EC%A0%9C-%EC%A0%95%EC%9D%98
사회적경제 개요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ocialenterprise.or.kr/social/econ/sumry.do?m_cd=E060
경기도 사회적경제 기본조례 | 국가법령정보센터 | 자치법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W//ordinInfoP.do?ordinSeq=1958357&chrClsCd=010202&gubun=ELIS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 기본 조례 | 국가법령정보센터 | 자치법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W//ordinInfoP.do?ordinSeq=1629549&chrClsCd=010202&gubun=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 기본 조례(2014. 5. 14 공포, 시행),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archives/7411
제주특별자치도 사회적경제 기본 조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jejuhub.org/file/download.json?id=37386
사회적경제 기본법안,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nse.kr/app/board/do_download?md_id=document&code=2909&file_name=7601074fecab5a9812cb3a2843f80c6f.pdf
blog.naver.com,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thenaeun-service/221781438302#:~:text=%EB%A7%88%EC%9D%84%EA%B8%B0%EC%97%85%EC%9D%80%2C%20%E3%80%8C%EB%8F%84%EC%8B%9C%EC%9E%AC%EC%83%9D,%EC%9A%B4%EC%98%81%ED%95%98%EB%8A%94%20%EA%B8%B0%EC%97%85%EC%9D%84%20%EB%A7%90%ED%95%A9%EB%8B%88%EB%8B%A4.
주요 사회적경제 기업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ocialenterprise.or.kr/social/econ/mainEconEnt.do?m_cd=E061
사회적 경제조직의 정의와 분류(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 Naver Blog,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thenaeun-service/221781438302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 국가법령정보센터 | 자치법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W//ordinInfoP.do?ordinSeq=1312386&chrClsCd=010202&gubun=ELIS
서울특별시동대문구사회적경제육성및지원에관한조례 - 국가법령정보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EC%9E%90%EC%B9%98%EB%B2%95%EA%B7%9C/%EC%84%9C%EC%9A%B8%ED%8A%B9%EB%B3%84%EC%8B%9C%EB%8F%99%EB%8C%80%EB%AC%B8%EA%B5%AC%EC%82%AC%ED%9A%8C%EC%A0%81%EA%B2%BD%EC%A0%9C%EC%9C%A1%EC%84%B1%EB%B0%8F%EC%A7%80%EC%9B%90%EC%97%90%EA%B4%80%ED%95%9C%EC%A1%B0%EB%A1%80/(1199,20171116)
[SE:FOCUS]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 망설일 이유도 시간도 없다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sehub/222437177948
사회적경제란? - 구로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guro.go.kr/www/contents.do?key=2871&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주요 추진 과제 Pool 선정:,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ocialenterprise.or.kr/atchFileDownload.do?menuId=BO04&seqNo=244918&fileSeqNo=245074
한국 사회적경제의 역사 - 예스24,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yes24.com/Goods/Detail/108461162
2011-2015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 5년 성과 및 향후 과제_ISBN적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wp-content/uploads/2016/12/2011-2015-%EC%84%9C%EC%9A%B8%EC%8B%9C-%EC%82%AC%ED%9A%8C%EC%A0%81%EA%B2%BD%EC%A0%9C-%ED%99%9C%EC%84%B1%ED%99%94-%EC%A0%95%EC%B1%85-5%EB%85%84-%EC%84%B1%EA%B3%BC-%EB%B0%8F-%ED%96%A5%ED%9B%84-%EA%B3%BC%EC%A0%9C_ISBN%EC%A0%81%EC%9A%A9.pdf
사회적경제지원센터소개 - 금천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geumcheon.go.kr/portal/contents.do?key=611
우리동이야기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496&bbsNo=38&nttNo=58386&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267
구정소식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3067&bbsNo=38&nttNo=58746&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332&integrDeptCode=
사회적경제 청년기획단 공모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496&bbsNo=38&nttNo=58746&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332
우리동이야기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496&bbsNo=38&nttNo=58765&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274
우리동이야기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512&bbsNo=38&nttNo=58887&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318&integrDeptCode=
동대문구 사회적경제기업 살리기 앞장 - 강원도사회적경제이야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gwse.tistory.com/2787
동대문구, 사회적경제기업 활성화에 주력 - CMB 대전방송,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www.cmbds.co.kr/ab-991-1151&category_1=B&tpa_index192=300&OTSKIN=layout_ptr.php&PB_1419151213=404
지역생태계현황 -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support-ecosystem
sehub.net,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wp-content/uploads/2020/03/fin_2019-%EC%84%9C%EC%9A%B8%EC%8B%9C-%EC%82%AC%ED%9A%8C%EC%A0%81%EA%B2%BD%EC%A0%9C-%EC%A1%B0%EC%A7%81-%ED%98%84%ED%99%A9-%EB%B6%84%EC%84%9D-%EB%B0%8F-%EC%A3%BC%EC%9A%94-%EC%84%B1%EA%B3%BC-%EC%97%B0%EA%B5%AC.pdf
물꼬를 튼 두 사람의 이야기②동대문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최근영 센터장(19/11/20),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200/?bmode=view&idx=8678813
동대문구, 사회적 경제 허브센터 조성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dm4you/221266337422?viewType=pc
심사보고서 수정안 조례안)강남구 사회적경제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gncouncil.go.kr/attach/council_text/278/278_3.pdf
보도자료 - 동대문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199&bbsNo=39&nttNo=63340&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02&integrDeptCode=
소개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0-1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지역창업자 위한 '원데이클래스' 연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13075
동대문구가 가르쳐주는 사회적경제 - 광주일등뉴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igj.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901
이필형 동대문구청장, 지역경제 챙기기 나서다 - 신아일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2362
이필형 동대문구청장, 지역경제 챙기기에 잰걸음[현장 구청장실 3편] - 동대문 이슈,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issue.com/news_view.jsp?ncd=8857
이필형 동대문구청장, 지역경제 챙기기 나서다 - 산경일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www.sankyun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93271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
사회적협동조합 동사경센터 - YouTube,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channel/UCmZuVW_xvo1VExm7FaddSfw
구정소식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3065&bbsNo=38&nttNo=60135&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192
컨설팅 사업부 - 이노밸류,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inno-value.kr/consulting/
사회적 경제 기업 대상 1:1 맞춤 컨설팅 지원 - 환경일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4484
사회적 경제 기업 대상 1:1 맞춤 컨설팅 지원 - 동대문구민신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www.xn--z92b13l34dhpao4wv9k.com/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1180500&gisa_idx=402081
우리동이야기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384&bbsNo=38&nttNo=166424
동대문구 ESG경제지원센터 <2024년 사회적경제 주민교육> 신청 안내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ddm4you&logNo=223563933450
동대문구 ESG경제지원센터 <2024년 사회적경제 주민교육> 신청 안내 - 웰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welfarehello.com/community/hometownNews/7d3ae0fc-1fa8-4e3f-b122-b1f08916c307
[서울뉴스]동대문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창업 준비교육 실시 - YouTube,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3do16WuoEHg
알기 쉬운 사회적 경제기업 설립상담 서비스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dm4you/222232900269
보도자료 - 동대문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199&bbsNo=39&nttNo=63372&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99&integrDeptCode=
동대문구가 가르쳐주는 사회적경제 - 티뉴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t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76337
꿈틀 청년, 로컬 활력 _ 도시혁신과 사회적경제의 동력 - 매거진 DDM - 스티비,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ddmse.stibee.com/p/3
2024 사회적경제 주민교육 모집 공고(동대문구 ESG경제지원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camevent/2024-%EC%82%AC%ED%9A%8C%EC%A0%81%EA%B2%BD%EC%A0%9C-%EC%A3%BC%EB%AF%BC%EA%B5%90%EC%9C%A1-%EB%AA%A8%EC%A7%91-%EA%B3%B5%EA%B3%A0%EB%8F%99%EB%8C%80%EB%AC%B8%EA%B5%AC-esg%EA%B2%BD%EC%A0%9C%EC%A7%80
동대문구 ESG 경제지원센터, '2024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파티' 성황리에 개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elaunch.kr/post/welaunch/qFiJq4AKeWhvYXpCT1Dh
“소상공인 돕고 지역경제 활성화”…동대문구, 잇다마켓 12일 열어 - 서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10584.html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동대문지역 소상공인 및 골목상권 활성화 된다 - 이로운넷,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40076
오마이컴퍼니, 동대문구 ESG경제지원센터와 지역 소상공인 및 골목상권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fcnews.co.kr/news/view.php?no=3596
(주)오마이컴퍼니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0-2/?bmode=view&idx=17748375
지역밀착형 경제 활성화를 위한 임팩트전략 컨퍼런스(2019/12/18)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8679358&t=board
동대문구 ESG 아이디어톤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0-2/?bmode=view&idx=24988487
[동대문구사회적경제지원센터] 미디어서포터즈 모집 | 공모전 대외활동-링커리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linkareer.com/activity/13544
지역소식 - 시민일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iminilbo.co.kr/news/articleList.html?page=470&total=9397&sc_section_code=S1N9&sc_sub_section_code=S2N38&sc_serial_code=&sc_area=&sc_level=&sc_article_type=&sc_view_level=&sc_sdate=&sc_edate=&sc_serial_number=&sc_word=&view_type=sm&pagenum=345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ocialenterprise.or.kr/social/board/view.do?pg=1&m_cd=D044&seq_no=245442&search_word=&search_type=&board_code=BO03&category_id=&com_certifi_num=&selectyear=&magazine=&mode=view
사회적경제 청년 서포터즈 참여자 모집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dm4you/222328897703
사회적경제백서 만들 동대문구 청년 찾아요! - 라이프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ifein.news/news/articleView.html?idxno=12371
사회적경제 소식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List.do?bbsNo=363&key=3827
2021 동대문구 소상공인의 사회적경제 전환을 통한 골목경제 활성화 프로젝트 협업체 모집 공고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3-1/?bmode=view&idx=8629381
사회적경제는 지금, 골목 활성화를 위해 소상공인들과 '의기투합' 중!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sehub/222564021827?viewType=pc
[골목경제활성화프로젝트④] 사회적경제로 동대문의 홍보를 책임진다! 여성 리더들이 만든 '인포레스트'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socialinvestmentfund/222544680069
자료실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0-5
2018년 동대문구 지역경제활성화 포럼 및 사회적경제한마당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0-2/?bmode=view&idx=8676565
[소식지] 2021 지역사회 민·민협력 컨소시엄 소식지 "[함께] 같이해요!-2월",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ddmplf&logNo=222294906103
동대문구민 필독 <2024 이렇게 달라집니다> 총 정리!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dm4you/223309823353?viewType=pc
2024 동대문구 ESG 아이디어톤 -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archives/2087317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동대문구ESG경제지원센터 <2024년 ESG 아이디어톤> 개최 - 웰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welfarehello.com/community/hometownNews/5ee27be0-575b-4c1e-bc53-74d215e52eec
새로운 시대, 사회적경제는 어디로 향하고 있나_동대문구 사회적경제기업 설문조사 결과,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dmse_/223695042483
「사회적경제 디딤돌매니저 사업」참여자 추가 2차모집 공고 -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archives/2040188
우리동이야기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480&bbsNo=38&nttNo=125082&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55
구정소식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3069&bbsNo=38&nttNo=165535&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2
[기타] 2025년 <동대문구 청년정책네트워크> 제6기 위원 모집 - 카카오톡채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pf.kakao.com/_pYTIK/108954749
서울시 동대문구 구정소식 정보 -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data.seoul.go.kr/dataList/datasetView.do?infId=OA-12744&srvType=S&serviceKind=1¤tPageNo=1
동대문구 사회적기업,마을기업,협동조합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contents.do?key=899
협동조합 설립현황 - COOP 협동조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oop.go.kr/home/state/guildEstablish.do?menu_no=2032
협동조합 설립현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oop.go.kr/home/state/guildEstablish.do?=&=&=&=&=&=&=&menu_no=2032&&page_now=420
주요 통계 - COOP 협동조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oop.go.kr/home/statistics/statistics1.do?menu_no=2035
협동조합 현황 - 주요통계,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oop.go.kr/home/status/sub04_2.jsp
Coop협동조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oop.go.kr/
주요 통계 - COOP 협동조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oop.go.kr/home/contentsInfo.do?menu_no=2035&tab_no=1
기획재정부_협동조합 설립현황 정보_20220628 - 공공데이터포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ata.go.kr/data/3034235/fileData.do
사회적협동조합 제품 우선구매 지침 - 성남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seongnam.go.kr:10002/fboard/common/download.php?cIdx=15&fboard=board_pds&num=264&actionMode=download&ff_idx=6534
사회적경제 설립 안내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4-1
동대문구 민선 8기 일자리대책 종합계획,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downloadBbsFile.do?atchmnflNo=122233
[9기] 안성규 펠로우 – 빌라노 _드림스폰(dreamspon) | 아름다운가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beautifulstore.org/archives/story/9%EA%B8%B0-%EC%95%88%EC%84%B1%EA%B7%9C-%ED%8E%A0%EB%A1%9C%EC%9A%B0-%EB%B9%8C%EB%9D%BC%EB%85%B8%E3%88%9C_%EB%93%9C%EB%A6%BC%EC%8A%A4%ED%8F%B0dreamspon
지역사회 돌봄과 혁신 _ 사회적경제로 잇는 연결과 로컬 활력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dmse_/223720347889
주민이 주체가 되는 그날까지! 동대문구의 마을기업 문화플랫폼 시민나루 협동조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mopaspr/222292277571
역사와 운영원리 - 찻집 녹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nockone.co.kr/%EC%97%AD%EC%82%AC%EC%99%80-%EC%9A%B4%EC%98%81%EC%9B%90%EB%A6%AC
정부지원홈페이지제작,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govm.co.kr/view.php?keyword=&search_addr=&search_flag=&search_kind=&search_sts=&page=1&seq=PRV_7_16963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2024년 공공판로 경쟁력 강화 컨설팅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ocialenterprise.or.kr/social/board/view.do?m_cd=D044&board_code=BO03&category_id=CA31&seq_no=251100&pg=&search_type=&search_word=
제1회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톤 | 공모전 대외활동-링커리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linkareer.com/activity/64282
제1회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톤 - WEVITY(위비티) 공모전,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wevity.com/index_university.php?c=find&s=_university&mode=end&gbn=view&gp=1295&ix=52788
[기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조직 알림톡 서비스 신청 안내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dm4you/223846140301?fromRss=true&trackingCode=rss
2021년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ocialenterprise.or.kr/atchFileDownload.do?menuId=BO04&seqNo=246708&fileSeqNo=250067
기본계획,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eat.cnse.kr/app/board/do_download?md_id=policy_data&code=1246
동대문구, '2022년 사회적경제 투어' 개최 - 이코노믹포스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economicpost.co.kr/sub_read.html?uid=45098§ion=sc135§ion2=%EC%84%9C%EC%9A%B8%20Report
사회적경제기업, 구청장 소통 간담회 - 서울로컬뉴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112
동대문구, 2022년 사회적경제 투어 개최동대문 이슈,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issue.com/news_view.jsp?ncd=7691
[인터뷰] 이필형 동대문구청장"'4N CITY' 통해 동대문구 도시 경쟁력 강화할 것" - 아시아경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40807292100787
[인터뷰]이필형 동대문구청장 "'4N CITY'로 동대문 미래도시 도약" - 아시아경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40821382560152
서울특별시 공고 제2015,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oulboard.seoul.go.kr/comm/getFile?srvcId=BBSTY1&upperNo=8506&fileTy=ATTACH&fileNo=167954&bbsNo=277
[장학금 정보의 구글]국내최초 장학금 정보제공 서비스 '드림스폰' 개발자_경희대학교 경영학과 안성규 학생 - Naver Blog,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khublog/220221206919?viewType=pc
고객센터 - 장학금의 모든 것, 드림스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reamspon.com/customer/dreamcontact.html
자본감소 최고 및 주권제출공고 - 장학금의 모든 것, 드림스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reamspon.com/customer/notice_view.html?idx=82
장학금 정보 제공 '드림스폰' - YouTube,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zEE6NOTgxnA
누군가의 터닝 포인트, '드림스폰' - 콘텐츠, IT로 구축한 장학금 플랫폼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sehub/220742898734
서울시 - | 서울정책아카이브 Seoul Solution,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oulsolution.kr/sites/default/files/%EC%84%9C%EC%9A%B8%EC%9D%B4%20%EC%95%88%EA%B3%A0%EC%9E%88%EB%8A%94%20%EA%B3%A0%EB%AF%BC%ED%95%B4%EA%B2%B0,%20%ED%98%81%EC%8B%A0%ED%98%95%20%EC%82%AC%EC%97%85%2019%EA%B0%9C%20%EC%84%A0%EC%A0%95.hwp
대학생 '팽주'들이 운영하는 전통 찻집 '녹원'에 오세요 - 이로운넷,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29953
사회적협동조합 녹원 - 가치소비의 진심, e-store 36.5,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epp.or.kr/minimall/view/5046
찻집 녹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nockone.co.kr/
사회적 협동조합 녹원 – 제 8회 2024 서울숲 소셜벤처엑스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o-lan.sd.go.kr/?p=4339
사회적협동조합 녹원 – 제 8회 2024 서울숲 소셜벤처엑스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o-lan.sd.go.kr/?p=3685?id=post-152&height=400&width=1000
돌봄 문제, 사회적경제 조직 간 협력으로 해결한다 - 네이버 블로그 - NAVER,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ehub&logNo=220434729527&categoryNo=1&proxyReferer=&noTrackingCode=true
동대문구에 돌봄 걱정 없는 아파트가 있다 - 매일일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780626
동대문구, 단지 안 키움센터·주민 돌보미로 '돌봄 걱정 뚝!' - 서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7723.html
2018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디자인 지원사업 시작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200/?bmode=view&idx=8675688
사회적경제, 전환기의 위기를 혁신의 기회로 - 매거진 DDM,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ddmse.stibee.com/p/4
동대문구, 밀고·당기고·함께 성장…사회적경제기업 간담회 - 천지일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427548
청년 도시 동대문구 ESG경제적 지원센터 최근영 센터장 인터뷰 - 한국시민기자협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www.civilreport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8436
동대문구, 도시재생 대상지 주거환경 개선에 박차 - 라이프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ifein.news/news/articleView.html?idxno=10372
서울 도시재생 사례를 통해 본 사회적경제 - 사단법인 상생나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www.jnsec.kr/bbs/board.php?bo_table=s_tour&wr_id=42&sca=%EC%82%AC%ED%9A%8C%EC%A0%81%EA%B2%BD%EC%A0%9C+%EC%9D%BD%EA%B8%B0&page=2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archives/2051847?download=2051848
지역주도형 일자리사업 - 기업마당>정책정보>지원사업 공고,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bizinfo.go.kr/web/lay1/bbs/S1T122C128/AS/74/view.do?pblancId=PBLN_000000000082193
동대문구, 청년들의 성공적인 사회진출 위해 나선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sen.co.kr/news/article.html?no=64471
돌봄 정책의 변화, 사회적경제의 '일상 돌봄' - 매거진 DDM,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ddmse.stibee.com/p/2
마을기업이란 - 경상북도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gb.go.kr/Main/open_contents/section/economy2020/page.do?mnu_uid=6210&LARGE_CODE=690&MEDIUM_CODE=30&SMALL_CODE=20&mnu_order=4
서울시 자치구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어떤 논의 있었나 - 라이프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ifein.news/news/articleView.html?idxno=10779
서울시 사회적경제 중기(2023년 ~ 2027년) 기본계획 - 서울지역협동조합협의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oulcoop.tistory.com/27
서울지역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 정책과 제도 개선을 위한 과제를 찾습니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oulcoop.tistory.com/30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역사와 현황 분석
I. 서론
A. 동대문구 맥락에서의 사회적경제 정의
사회적경제(Social Economy)는 이윤 극대화를 최우선으로 하는 전통적인 시장경제와 달리, 사람과 공동체의 가치를 우위에 두고 사회적 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경제 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이다.1 이는 국가와 시장의 경계에서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 자조를 바탕으로 재화나 용역의 생산, 교환, 분배, 소비 활동을 통해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 발전이라는 사회적 가치(Social Value)를 창출하는 민간의 모든 경제적 활동을 의미한다.1
사회적 가치의 구체적인 내용은 인간 존엄성 유지 및 인권 신장,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지역사회 재생 및 활성화, 사회적 약자의 사회통합, 공동체 이익 실현, 윤리적 생산과 유통, 환경의 지속가능성 보전 등 사회·경제·환경·문화적 영역 전반에 걸쳐 공익적 성과를 포괄한다.5 이러한 사회적 가치 추구는 사회적경제 조직 운영의 핵심 원칙으로 작용하며, 민주적이고 참여적인 의사결정 구조, 투명하고 윤리적인 경영, 이익의 사회적 목적 우선 사용 등을 통해 실현된다.4
한국의 법률 및 정책 체계 내에서 사회적경제 조직은 일반적으로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 협동조합(Cooperative, 사회적협동조합 포함), 마을기업(Village Enterprise), 자활기업(Self-Sufficiency Enterprise) 등을 포함한다.1 최근에는 혁신 기술과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소셜벤처(Social Venture) 역시 사회적경제의 중요한 주체로 주목받고 있다.8 이러한 다양한 조직들은 각기 다른 법적 근거와 주무 부처를 가지지만, 사회적 가치 추구라는 공통의 목표 아래 활동한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는 이러한 국가적, 서울시 차원의 사회적경제 정의와 정책 틀 안에서 운영된다. 특히 2017년 제정된 자체 조례를 통해 지역의 특성과 필요에 맞는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조성하고 지원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이는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발전 방향과 지원 정책의 기초가 되고 있다.13 사회적경제의 정의가 단일하지 않고 다양한 측면을 포괄한다는 점은 동대문구 내 다양한 조직과 활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출발점이다. 각 조직 유형은 고유한 특성과 법적 기반을 가지면서도, 사회적 가치 창출이라는 공통분모를 통해 '사회적경제'라는 큰 틀 안에서 상호 연관성을 맺고 있다.
B. 보고서의 의의 및 목적
사회적경제는 경제 성장 과정에서 심화된 양극화, 고용 불안정, 지역 공동체 약화 등 기존 시장경제 시스템과 공공부문이 온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대안적 접근 방식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1 특히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필수적인 사회 서비스 제공, 지역 공동체 활성화 등 지역 기반의 문제 해결에 있어 사회적경제 조직들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에서 사회적경제의 제도적 기반 마련과 정책적 지원은 비교적 최근인 200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되었다.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정을 시작으로, 2010년대 초반 마을기업 육성 사업과 2012년 「협동조합 기본법」 제정 등이 이어지면서 사회적경제 조직의 설립과 활동을 위한 법적, 제도적 환경이 조성되었다.1 이러한 정책적 흐름은 사회적경제가 단순히 자선이나 복지의 영역을 넘어, 지속가능한 경제 활동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혁신적인 모델로 인식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를 대상으로 사회적경제의 역사적 발전 과정, 현재 생태계 현황, 주요 지원 시스템과 정책, 대표적인 성과와 당면 과제, 그리고 향후 발전 방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현주소를 명확히 파악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보고서는 동대문구의 사회적경제 정책 입안자, 관련 연구자 및 학생, 현장 활동가 등에게 사회적경제 분야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해도를 높이고 관련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I.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발전 과정
A. 태동기: 초기 영향과 활동 (2017년 조례 제정 이전)
동대문구에서 사회적경제에 대한 공식적인 조례가 제정되기 이전에도,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체 기반의 경제 활동이나 초기 형태의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 시기 동대문구만의 특화된 사회적경제 활동에 대한 기록은 제한적이다. 다만, 국가 및 서울시 차원의 정책 변화가 동대문구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시기로 볼 수 있다.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정, 2010년 이후 마을기업 육성사업 시작, 2012년 「협동조합 기본법」 제정 등은 전국적으로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관련 조직 설립의 기반을 마련했다.1
동대문구 차원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춘 초기 활동들이 나타났다. 2011년에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이 제정되어 사회적기업 지원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17, 2014년에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창업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등 21 초기 인큐베이팅 노력이 있었다. 2015년에는 '사회적경제 청년기획단' 공모 22 및 '사회적경제 청년 아카데미' 개최 24 등을 통해 청년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아이디어를 모색했다. 또한, 같은 해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공모전'을 통해 교육/돌봄, 문화예술, 먹거리, 주거, 환경 등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 주도 사업 아이템 발굴을 시도했으며 25, 상반기에는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직거래 장터를 16차례 열어 약 1,170만 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초기 판로 개척 지원도 이루어졌다.26 이러한 활동들은 동대문구가 자체적인 종합 조례 제정 이전에 이미 사회적경제 육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사회적경제 조직들 간의 자발적인 연대 움직임도 나타났다. 2012년 ‘동대문구 사회적기업협의회’가 만들어졌으며 2013년 ‘동대문지역협동조합협의회’의 활동을 시작하였다. 2016년 6월에는 '동대문 사회적경제 네트워크'(동사경넷)가 설립되어 활동하였다.28 이는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신협, 생협 등을 주축으로 설립되어 지역 내 사회적경제 주체 간 교류와 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하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29 동대문구 사회적적경제지원센터의의 최근영 센터장이 이끌었던 ‘동대문지역협동조합협의회’ 역시 이러한 초기 네트워크 형성 과정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0 비록 금천구(2011년 센터 설립) 등 일부 자치구에 비해 동대문구의 공식적인 지원체계 구축은 다소 늦었지만 20, 조례 제정 이전 시기에도 정부 정책의 영향 아래 구청의 지원 사업과 민간 조직들의 자발적 활동이 병행되며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기초가 다져지고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B. 제도화 및 인프라 구축: 2017년 조례 제정과 지원센터 설립 (2018년)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은 2017년 관련 조례 제정과 2018년 지원센터 설립으로 마련되었다. 2017년 11월 16일,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조례 제1199호)가 제정되었다.13 이 조례는 동대문구 내 사회적경제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목적으로, 사회적경제의 기본 원칙과 관련 주체들의 역할을 규정하고 정책 추진의 법적 근거를 명확히 했다.13
조례의 주요 내용은 사회적경제 및 관련 조직(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의 정의, 지원 대상(동대문구 내 주사무소를 둔 사회적경제 조직 및 지원 기관/단체), 지원 내용(행정 지원, 컨설팅, 판로 확대, 네트워크 구축, 교육·홍보 등), 그리고 중요 사항 심의를 위한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육성위원회' 설치 등을 포함한다.13 이는 산발적으로 이루어지던 지원 활동을 체계화하고, 구 차원의 일관된 정책 추진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조례 제정에 이어 2018년에는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물리적 거점 역할을 할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허브센터'가 답십리로38길 19에 위치한 공동제조사업장 건물 2층에 조성되었다.31 약 2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350.55㎡ 규모로 조성된 이 센터는 사회적경제 기업 사무실 5실, 인큐베이팅 룸, 공동회의실, 교육장, 코워킹스페이스 등을 갖추어 사회적경제 조직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물리적 공간과 인프라를 제공했다.31 이 허브센터의 운영은 '사회적협동조합 동사경센터'가 맡아 수행하게 되었다.30
이처럼 2017년 조례 제정과 2018년 허브센터 설립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발전에 있어 제도적 틀과 물리적 구심점을 동시에 마련한 결정적인 단계였다. 이는 사회적경제 조직에 대한 지원을 보다 체계적이고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으며, 이후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과 네트워킹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는 토대가 되었다.30 최근영 센터장 역시 인터뷰에서 센터 설립 초기에 제도적(조례) 및 공간적(센터) 인프라 구축이 가장 중요한 과제였음을 언급한 바 있다.30 이러한 인프라 구축은 사회적경제 조직의 양적 성장을 촉진하고, 나아가 질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평가된다.
C. 주요 이정표 및 변화 (2018년 이후)
2018년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허브센터 설립 이후, 사회적협동조합 동사경센터(이하 동사경센터)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들이 추진되며 생태계는 점차 구체적인 모습을 갖추어 나갔다. 동사경센터는 허브센터 공간을 활용한 사무공간 제공 및 인큐베이팅 기능 외에도 31, 경영, 마케팅, 회계, 노무 등 분야별 전문 컨설팅 제공 13,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창창캠퍼스', 'BEGIN 과정' 등) 및 주민 대상 교육 운영 24, 네트워킹 파티 및 워크숍 개최 29, 대표적인 판로 지원 사업인 '잇다마켓' 운영 29, 청년 참여 활성화 사업 23, 지역 일자리 창출 사업('DDM 일자리발전소') 29, 소상공인의 사회적경제 전환 지원 프로젝트 68 등 광범위한 활동을 전개했다.
이러한 활동의 결과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성장 과정은 2018년부터 2024년까지 매년 발간된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백서'와 2022년 '동사경 성과보고서'를 통해 기록되고 공유되었다.62 이 백서들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발전 과정을 추적하고 성과를 평가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2024년에는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었다. 기존의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가 '동대문구 ESG경제지원센터'로 명칭을 변경한 것이다.74 이는 기존 사회적경제 지원 업무에 더해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포괄하는 ESG 관련 교육 및 사업을 추가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74 이 변화는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ESG 경영 트렌드에 발맞추어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도록 지원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을 수 있다. 센터는 이미 ESG 아이디어톤 개최 75, ESG 관련 교육 홍보 47 등 관련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명칭 변경과 기능 확대는 잠재적인 우려도 내포한다. ESG는 사회적경제와 일부 가치를 공유하지만, 강조점(예: 환경 및 지배구조)과 대상(주로 기업)에서 차이가 있다. 사회적경제가 중시하는 민주적 운영, 조합원 참여, 사회적 가치 우선 등의 고유한 특성이 상대적으로 희석될 가능성이 있으며, 지원 자원 배분이나 정책 방향 설정에서 기존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소외될 수도 있다. 특히 2022년 부터 사회적경제 분야의 예산 삭감 및 지원 정책 축소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 상황에서 77, ESG로의 전환이 자원 제약 속에서 이루어지는 정책적 방향 수정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변화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생태계에 미칠 장기적인 영향은 지속적인 관심과 분석이 필요하다.
한편, 동대문구청 내 사회적경제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명도 변화를 거듭했다. 초기 '일자리창출과' 51에서 '일자리청년과' 74를 거쳐, 현재는 '청년정책고용과'에서 ESG 및 사회적경제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46
III.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A. 사회적경제 조직 프로필
동대문구의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조직들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데 필수적이다. 동대문구청에서 제공하는 가장 최신 자료(2024년 기준 추정)에 따르면, 유형별 사회적경제 조직 현황은 다음과 같다.83
표 1: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조직 현황 (유형별)
| 유형 | 수 | 출처 / 기준 시점 |
| :----------------------- | :-: | :------------------ |
| 인증 사회적기업 | 14 | 83 / ~2024 |
| 예비 사회적기업 | 9 | 83 / ~2024 |
| 마을기업 | 3 | 83 / ~2024 |
| 협동조합 (일반) | TBD* | coop.go.kr / 2024 |
| 사회적협동조합 | TBD* | coop.go.kr / 2024 |
| 자활기업 | TBD* | (외부 자료 필요) |
| 합계 (명시된 유형) | 26+ | |
*참고: 협동조합의 경우, 2018년 기준 88개로 파악되었으나 31, 현재 정확한 수는 기획재정부 협동조합 홈페이지(coop.go.kr) 또는 2023년 서울시 실태조사 79 결과 확인이 필요하다. coop.go.kr 사이트 자체는 동대문구별 통계를 직접 제공하지 않으며 84, 엑셀 다운로드를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91 자활기업에 대한 정보는 제공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동대문 사회적경제 네트워크(동사경넷)에는 2025년 1월 기준 약 50여 개 조직이 참여하고 있어 92, 공식 등록된 조직 수와 실제 활동 중인 조직 수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표는 동대문구 내 공식적으로 인·지정된 사회적경제 조직의 규모를 보여준다. 특히 인증 및 예비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의 수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2020년 기준 동대문구 전체 사업체 수가 43,029개소인 점을 감안하면 93, 사회적경제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사회적경제 부문의 양적 성장이 더 필요함을 시사하는 동시에, 각 조직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질적 영향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조직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주요 활동 분야를 예시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육/서비스: (사)사랑의자전거(자전거 수리/교육), ㈜빌라노(장학금 플랫폼 '드림스폰') 83
사회복지/돌봄: (사)우리사랑복지원(요양보호사 파견), 한국예술상담협동조합(상담), 죠이풀 사회적협동조합(문화소외계층 프로그램), 사회적협동조합 혜민서(어르신 반찬/안부 확인, 작은 장례), 사회적협동조합 되돌림(어르신 도시락 배달), 꾸마시협동조합(발달장애인 부모 협동조합) 83
주거/건축: ㈜새암(실내건축), 아이부키㈜(사회주택 공급/운영) 83
경비/시설관리: ㈜프라임서비스(건물관리/청소) 83
제조/공예/패션: 한국패션 사회적협동조합(단체복 제조/교육), ㈜제리백(가방 제작/판매), ㈜블루밍(천연 염색 제품) 83
식품/음료/공정무역: 카페오아시아 사회적협동조합(공정무역 커피) 83
지역 미디어/커뮤니티: 문화플랫폼 시민나루 협동조합(마을미디어) 96
지역재생/커뮤니티 공간: 사회적협동조합 녹원(찻집 운영, 로컬 브랜딩), 휘경어울림협동(카페 운영, 지역재생 활동) 95
시장 활성화: 레츠고경동협동조합(경동시장 청년몰, 야시장 운영) 95
이처럼 동대문구 사회적경제는 교육, 복지, 주거, 제조, 문화, 지역 활성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지역사회의 필요에 부응하며 활동하고 있다. 특히 청년 주도의 혁신적인 사업 모델(드림스폰, 녹원 등)과 지역 재생 및 커뮤니티 기반 활동이 눈에 띈다.
B. 지원 시스템 및 주요 행위자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생태계는 중간지원조직, 지방정부, 민간 네트워크 등 다양한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지되고 발전한다.
1. 동대문구 ESG경제지원센터 (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핵심적인 중간지원조직 역할을 수행한 곳은 '동대문구 ESG경제지원센터'이다. 센터는 2024년 까지지 '사회적협동조합 동사경센터'가 운영하였으며 30, 2025년 부터 동대문구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다. 주요 활동 공간인 허브센터는 답십리동(답십리로 38길 19)에 위치하고 있다.31
2024년 까지 센터의 주요 기능은 매우 포괄적이였다. 사회적경제 조직을 위한 사무공간 제공 및 초기 창업 보육(인큐베이팅) 31, 경영·마케팅·회계·노무 등 분야별 맞춤형 컨설팅 제공 13, 사회적경제 아카데미·주민 교육·청년 프로그램·디지털 기술(AI, 메타버스 등) 교육 등 역량 강화 지원 24, '잇다마켓'과 같은 판로 개척 및 마케팅 지원(공공구매 지원, 라이브커머스 등 온라인 홍보 포함) 29, 조직 간 교류·협력을 위한 네트워킹 행사(네트워크 파티 등) 개최 29, 창업 아이디어 공모전·소상공인 전환 지원 등 신규 조직 발굴 및 육성 50, 뉴스레터·웹사이트·SNS·알림톡 서비스 등을 통한 정보 제공 및 홍보 40, 그리고 최근에는 ESG 경영 도입 지원까지 74 그 역할을 계속속 확대하였였다. '잇다마켓', '주민기술학교', 'ESG 아이디어톤', '사회적경제 주민교육', '맞춤형 컨설팅' 등은 센터가 운영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였다.34 이처럼 센터는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조직들의 설립부터 성장, 판로 개척, 역량 강화, 네트워크 구축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필수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하였다.
2. 동대문구청의 역할
동대문구청은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 재정 지원, 행정적 지원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2017년 제정된 「사회적경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는 구청의 역할과 책무를 규정하는 기본 틀이다.13 구청은 매년 사회적경제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고 (비록 공개 여부는 불확실하나 2021년, 2022년 계획의 존재는 언급됨) 103, ESG경제지원센터 운영 및 관련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을 지원한다.31 또한, 사회적경제 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 사업비를 지원하였다. 44 공공기관 우선구매 제도 활성화를 통해 사회적경제 조직의 판로를 지원하는 것 역시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5
현재 사회적경제 및 ESG 관련 업무는 '청년정책고용과'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46, 이는 이전의 '일자리창출과' 또는 '일자리청년과'에서 이어진 것으로 51, 사회적경제가 동대문구청 추진 사업에서 주목도가 떨어졌음을 보여준다. 현, 이필형 구청장이 제시한 '4N CITY'(교육, 문화, 동행, 미래도시) 비전 108과 사회적경제 정책 간의 구체적인 연계성이나 시너지 창출 방안은 확인되지 않는는다.
3. 동대문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동사경넷)
동사경넷은 동대문구 내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연합체로, 조직 간 교류와 협력, 공동사업 추진, 상호부조 등을 목적으로 활동한다.5 2025년 1월 기준 약 50여 개 조직이 참여하고 있으며 92, 역사적으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신협, 생협 포함) 등이 주축이 되어 형성되었다.29 네트워크는 정기적인 네트워킹 행사(파티, 워크숍 등)를 통해 조직 간 유대감을 강화하고 29, 공동 마케팅이나 사업을 추진하며,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등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사경넷은 지원센터, 구청과 함께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한 축으로서, 민간 주체들의 자율적인 협력과 연대를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해왔왔다.
C. 지역 특화 사업 및 성공 사례 조명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역동성을 보여주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지역 특화 사업 및 성공 사례는 다음과 같다.
1. 빌라노㈜ / 드림스폰 (Dreamspon)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대표적인 청년 창업 성공 사례로 꼽히는 빌라노㈜는 장학금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사회적기업이다.110 경희대학교 창업동아리에서 시작하여 111, 전국 장학금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플랫폼 '드림스폰'을 개발·운영하고 있다.94 단순 정보 제공을 넘어, 기업이나 개인이 소액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드림장학'(예: 족발장학, 재능응원 장학) 캠페인을 기획하여 장학금의 개념을 확장하고 기부 문화를 확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94 빌라노는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허브센터에 입주하여 활동하며 112, 초기 서울시 사회적경제 혁신형 사업 지원을 받는 등 110 지역 지원 시스템을 발판 삼아 성장했다. 이는 청년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정보기술(IT)과 결합하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2. 사회적협동조합 녹원 (Nokwon)
사회적협동조합 녹원은 경희대학교 인근에서 30년 넘게 운영되다 폐업 위기에 처했던 전통찻집 '녹원'을 대학생들이 '녹원 재건 프로젝트'를 통해 되살린 사례이다.97 단순한 찻집 운영을 넘어, 지역 농가와 연계하여 국산 재료를 활용한 메뉴를 개발하고(도농상생) 117, 지역 주민과 대학생을 연결하는 커뮤니티 프로그램(원데이 클래스, 토크 살롱 등)을 운영하며 117, 청년들의 사회혁신 실험실이자 로컬 브랜딩 거점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53 녹원은 청년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동을 통해 지역의 역사적 공간을 보존하고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모델을 제시하며, 쇠락하는 대학가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하고 있다.95
3. 지역 기반 돌봄 서비스 연계
동대문구는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 특성상 93 돌봄 서비스 수요가 크다. 이에 대응하여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전농2동 래미안아름숲아파트에서는 주민들이 '공동주택 같이살림 프로젝트'를 통해 단지 내 아이 돌봄 수요를 자체적으로 해결하는 모델을 구축했다. 주민 돌보미를 양성하고 전용 앱을 통해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웃 간 신뢰를 바탕으로 한 안전하고 편리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며 동시에 주민 일자리도 창출하고 있다.123 또한, 사회적협동조합 혜민서는 홀몸 어르신 반찬 나눔 및 안부 확인, 고독사 예방 활동 등을 펼치고 있으며 95, 사회적협동조합 되돌림은 어르신 도시락 배달 사업을 오랫동안 수행해왔다.95 이 외에도 한국예술상담협동조합(상담), 죠이풀 사회적협동조합(문화소외계층 프로그램), 꾸마시협동조합(발달장애인 지원) 등 다양한 조직들이 지역의 돌봄 공백을 메우는 데 기여하고 있다.95 이러한 활동들은 사회적경제가 지역사회 복지 시스템을 보완하고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 잇다마켓 (Itda Market)
동사경센터 주관하는 '잇다마켓'은 동대문구를 대표하는 플리마켓으로 자리 잡았다.29 배봉산 근린공원 등에서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이 마켓은 지역 내 사회적경제 기업, 소상공인, 수공예 작가 등에게 제품 판매 및 홍보 기회를 제공하고, 주민들에게는 다양한 상품과 체험(페이스페인팅, 캐리커처 등)을 즐길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56 잇다마켓은 단순한 판매 행사를 넘어,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고 지역 공동체가 교류하는 소통의 장으로서 기능하며, 사회적경제에 대한 주민 인지도를 높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성공적인 플랫폼으로 평가받는다.29
이러한 사례들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가 청년 주도의 혁신, 지역 자원 활용, 공동체 기반 서비스 제공, 판로 개척 지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지역 대학과의 연계(경희대, 시립대 등)를 통한 청년 인재 유입 및 산학 협력 29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두드러진 특징이자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IV. 도전과제, 기회 및 향후 전망
A. 현안 과제
동대문구 사회적경제는 꾸준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여러 과제에 직면해 있다.
첫째, 재정적 불안정성 및 정책 환경 변화는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이다. 최근 사회적경제 관련 정부 예산이 대폭 삭감되고 126 지원 정책이 축소되는 경향은 77 개별 조직의 운영 안정성을 위협하고 새로운 사업 추진을 위축시킬 수 있다.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기업 대상 설문조사에서도 예산 감소(82%)와 지원 정책 축소(45%)가 가장 큰 변화로 지적되었다.77 특히, 사회적기업가 육성 사업비 축소 126 등은 신규 기업 진입과 혁신 동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2024년 사회적경제지원센터의 ESG경제지원센터로의 전환과 2025년 센터의 직영전환환이 가져올 정책 방향 변화와 그 영향도 아직 불확실하다.
둘째,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약화 우려가 제기된다. 예산 삭감 및 정책 변화는 중간지원조직의 운영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설문 응답자의 73%가 지원조직 운영 중단을 가장 큰 문제로 꼽은 것은 77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축소가 현장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원센터의 기능 약화는 컨설팅, 교육, 네트워킹 등 생태계 전반의 지원 시스템 약화로 이어져 조직들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셋째, 안정적인 시장 확보 및 규모화의 어려움은 여전히 많은 사회적경제 조직이 겪는 고질적인 문제이다. 공공기관 우선구매 제도가 존재하지만 5, 실제 구매 연계가 원활하지 않거나 경쟁 심화로 인해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 일반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및 판로 다각화, 사업 규모 확장을 위한 자금 조달 등도 중요한 과제이다. 잇다마켓과 같은 판로 지원 사업 56이나 맞춤형 컨설팅 44이 제공되고 있지만, 보다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지원책 마련이 요구된다. 2017년 구청장 간담회에서도 판로 개척의 어려움이 언급된 바 있다.127
넷째, 네트워크 및 협력 강화의 필요성이다. 동사경넷과 같은 네트워크 조직이 활동하고 있고 29, 대학-기업 간 협력 사례도 있지만 125, 조직 간 실질적인 공동사업 추진이나 전략적 연대 활동은 아직 부족한 측면이 있다. 특히 최근의 정책 환경 변화 속에서 네트워크 약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77, 단순한 교류를 넘어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시너지 창출과 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 체계 강화가 시급하다.29
다섯째, 사회적경제에 대한 낮은 인지도 및 이해 부족 문제도 지속적인 과제이다. 지원센터의 교육 및 홍보 노력에도 불구하고 29, 여전히 많은 주민과 일반 기업에게 사회적경제는 생소한 개념일 수 있다.30 이는 사회적경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소비 저변 확대나 지역사회의 지지 확보에 어려움으로 작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특정 산업 분야의 구조적 문제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동대문구가 강점을 가진 봉제 산업 분야에서 사회적경제 모델을 적용하려 해도, 기술 이전의 어려움과 고령화된 인력 구조, 신규 인력 유입 부족 등의 문제로 활성화에 한계가 있다.128
B. 새로운 동향 및 기회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동대문구 사회적경제는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첫째, ESG 경영 트렌드와의 연계는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다. 지원센터의 명칭 변경 74은 이러한 흐름을 반영한 것으로,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ESG 가치를 내재화하고 이를 경영 전략에 통합함으로써 기업 이미지 제고, 투자 유치, 새로운 파트너십 구축 등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동사경경센터 주관의 ESG 아이디어톤 75 등은 이러한 연계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였다.
둘째,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사회적경제 조직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사업 모델을 창출할 기회를 제공한다. 라이브커머스 등 온라인 마케팅 활용 70, AI 및 메타버스 기술 교육을 통한 역량 강화 34, 드림스폰과 같은 온라인 플랫폼 기반 서비스 개발 94 등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혁신 사례이다.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기업 설문에서도 디지털 전환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64%) 및 운영 효율성 증가(27%)에 대한 기대가 높게 나타났다.77
셋째, 지역재생 사업과의 시너지 창출 가능성이다. 고대앞마을 등 동대문구 내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역 129이나 휘경동, 청량리, 답십리리 등 지역재생 활동이 활발한 곳 95에서 사회적경제 조직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주거 환경 개선, 지역 상권 활성화, 공동체 회복 등에 기여하였다.21 이는 사회적경제의 지역 밀착성을 강화하고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넷째, 활발한 청년 참여와 혁신 역량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중요한 자산이다. 빌라노, 녹원, 몽땅 등 청년들이 주도하는 성공 사례 94에서 볼 수 있듯이, 청년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열정은 사회적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청년 대상 창업 지원, 교육 프로그램, 네트워크 활동 등을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23 이들의 혁신 역량을 사회적경제 발전의 동력으로 활용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사회 문제 해결 수요 증대이다. 고령화 심화에 따른 노인 돌봄 74, 맞벌이 가구 증가로 인한 아동 돌봄 123,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 증대 101 등 지역사회의 다양한 문제 해결 수요는 사회적경제 조직들에게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돌봄/복지(45%)와 지역순환경제(27%)는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기업들이 주목하는 주요 사회적 과제로 나타났다.77 이러한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혁신적인 서비스와 제품 개발이 요구된다.
C.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략 방향 및 제언
동대문구 사회적경제가 당면한 과제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회를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적 방향 설정과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재정적 자립 기반 강화가 필수적이다. 정부 지원 축소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수익 모델 다각화(설문 응답자의 45%가 주요 전략으로 고려) 77, 사회적 금융(Social Finance) 활용 방안 모색 9, 민간 기업과의 파트너십 강화(설문 응답자의 27%가 주요 전략으로 고려) 77 등을 통해 재정적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ESG경제지원센터의 맞춤형 경영 컨설팅 44과 판로 개척 지원 56 기능이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협력과 연대의 내실화가 요구된다. 동사경넷을 중심으로 조직 간 정보 공유, 공동 사업 추진, 정책 제언 등 실질적인 협력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5 또한, 대학, 연구기관, 일반 기업, 시민사회 등 외부 행위자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자원 연계 및 시너지 창출을 도모해야 한다.
셋째, ESG 전환 과정의 연착륙 지원이 중요하다. 서울시와 동대문구청은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ESG 개념을 이해하고 경영에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실질적인 지원(교육, 컨설팅, 지표 개발 등)을 제공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사회적경제 고유의 가치(사회적 미션, 민주적 운영 등)가 훼손되지 않도록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
넷째, 지속적인 역량 강화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 역량(AI, 데이터 활용 등) 34, 전문 경영 능력(재무, 마케팅, 인사 등) 51, ESG 경영 및 사회적 가치 측정 역량 등에 대한 맞춤형 교육과 컨설팅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사회와의 연계 강화를 통해 사회적경제의 뿌리를 더욱 깊게 내려야 한다. 지역 주민의 필요(돌봄, 환경, 문화 등)에 기반한 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95, 지역 자원(대학, 전통시장, 유휴 공간 등)을 적극 활용하며 29, 지역 내 소비 촉진(로컬 소비 캠페인 등)을 통해 지역 순환 경제 구조를 만들어가야 한다.
여섯째, 지속적인 정책 대화 및 제도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적경제 조직, 지원센터, 구청 간의 정기적인 소통 채널을 유지·강화하여 37 현장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조례 개정 136, 공공구매 활성화 방안 구체화, 사회적 금융 접근성 제고 등 제도적 기반 확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137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기업 설문에서도 자립적 생태계 구축(36%)과 제도적 기반 확충(27%)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방향으로 제시되었다.77
궁극적으로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지속가능성은 외부 지원에 의존하기보다 내부 역량 강화와 협력을 통해 '자립적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달려있다.77 위에서 제시된 전략 방향들은 이러한 자립적 생태계 조성을 위한 핵심 요소들이다.
V. 결론
A.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여정 요약
동대문구의 사회적경제는 2010년대 초중반 국가 및 서울시 정책의 영향 아래 초기 활동을 시작하여, 2015년경 청년 참여 유도 및 판로 개척 등 구체적인 사업들이 나타나며 태동기를 거쳤다. 2017년 「사회적경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과 2018년 '사회적경제 허브센터' 설립은 제도적 기반과 물리적 거점을 마련하며 본격적인 성장기로 진입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후 사회적협동조합 동사경센터를 중심으로 인큐베이팅, 컨설팅, 교육, 판로 지원(잇다마켓 등), 네트워킹 등 종합적인 지원 시스템이 가동되었으며, 특히 청년 창업 지원과 지역사회 문제 해결(돌봄, 재생 등)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특화 사업들이 추진되었다. 이러한 과정과 성과는 매년 발간된 사회적경제 백서를 통해 기록되었다. 2024년에는 지원센터가 'ESG경제지원센터'로 명칭을 변경하며 ESG 가치 통합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현재 동대문구 사회적경제는 인증/예비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 공식 인정 조직 수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협동조합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B. 역할과 미래 잠재력에 대한 제언
동대문구 사회적경제는 지역 내 일자리 창출, 취약계층 지원, 돌봄 서비스 제공, 공동체 활성화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며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특히 청년들의 혁신적인 참여와 지역 자원을 활용한 창의적인 사업 모델들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이다.
그러나 현재 동대문구 사회적경제는 정부 예산 삭감과 정책 변화라는 외부 환경의 도전과 함께, 내부적으로는 재정 자립, 시장 확대, 네트워크 강화, ESG 전환 적응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전환기적 어려움 속에서도 디지털 전환, ESG 경영 도입, 지역재생 연계, 돌봄 경제 확대 등 새로운 기회 요인 또한 분명히 존재한다.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의 미래는 이러한 도전과 기회 속에서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을 어떻게 구축하느냐에 달려있다. 핵심은 외부 지원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내생적인 발전 동력을 강화하는 '자립적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다.77 이를 위해서는 개별 조직의 역량 강화는 물론, 조직 간의 실질적인 협력과 연대를 심화하고, 새로운 흐름을 사회적경제의 본질적 가치와 조화롭게 통합하고,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지역사회의 필요에 더욱 밀착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동대문구 사회적경제는 지난 10여 년간 의미 있는 성장을 이루어왔으며, 지역사회의 중요한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당면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혁신과 협력, 지역 밀착성을 강화한다면, 동대문구가 지향하는 '행복을 여는 도시'를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더욱 밝은 미래를 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속적인 관심과 체계적인 지원, 그리고 사회적경제 주체들의 끊임없는 노력이 동반될 때 그 잠재력은 온전히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사회적경제란 - 여수시사회적경제마을통합지원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yssec.kr/info/
사회적경제란? - 개념과 현황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ocialenterprise.or.kr/social/econ/concept.do?m_cd=E021
사회적경제 정의 - 전남상사 사회적협동조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jnsecoop.or.kr/%EC%82%AC%ED%9A%8C%EC%A0%81%EA%B2%BD%EC%A0%9C-%EC%A0%95%EC%9D%98
사회적경제 개요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ocialenterprise.or.kr/social/econ/sumry.do?m_cd=E060
경기도 사회적경제 기본조례 | 국가법령정보센터 | 자치법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W//ordinInfoP.do?ordinSeq=1958357&chrClsCd=010202&gubun=ELIS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 기본 조례 | 국가법령정보센터 | 자치법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W//ordinInfoP.do?ordinSeq=1629549&chrClsCd=010202&gubun=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 기본 조례(2014. 5. 14 공포, 시행),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archives/7411
제주특별자치도 사회적경제 기본 조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jejuhub.org/file/download.json?id=37386
사회적경제 기본법안,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nse.kr/app/board/do_download?md_id=document&code=2909&file_name=7601074fecab5a9812cb3a2843f80c6f.pdf
blog.naver.com,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thenaeun-service/221781438302#:~:text=%EB%A7%88%EC%9D%84%EA%B8%B0%EC%97%85%EC%9D%80%2C%20%E3%80%8C%EB%8F%84%EC%8B%9C%EC%9E%AC%EC%83%9D,%EC%9A%B4%EC%98%81%ED%95%98%EB%8A%94%20%EA%B8%B0%EC%97%85%EC%9D%84%20%EB%A7%90%ED%95%A9%EB%8B%88%EB%8B%A4.
주요 사회적경제 기업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ocialenterprise.or.kr/social/econ/mainEconEnt.do?m_cd=E061
사회적 경제조직의 정의와 분류(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 Naver Blog,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thenaeun-service/221781438302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 국가법령정보센터 | 자치법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LSW//ordinInfoP.do?ordinSeq=1312386&chrClsCd=010202&gubun=ELIS
서울특별시동대문구사회적경제육성및지원에관한조례 - 국가법령정보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aw.go.kr/%EC%9E%90%EC%B9%98%EB%B2%95%EA%B7%9C/%EC%84%9C%EC%9A%B8%ED%8A%B9%EB%B3%84%EC%8B%9C%EB%8F%99%EB%8C%80%EB%AC%B8%EA%B5%AC%EC%82%AC%ED%9A%8C%EC%A0%81%EA%B2%BD%EC%A0%9C%EC%9C%A1%EC%84%B1%EB%B0%8F%EC%A7%80%EC%9B%90%EC%97%90%EA%B4%80%ED%95%9C%EC%A1%B0%EB%A1%80/(1199,20171116)
[SE:FOCUS]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 망설일 이유도 시간도 없다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sehub/222437177948
사회적경제란? - 구로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guro.go.kr/www/contents.do?key=2871&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주요 추진 과제 Pool 선정:,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ocialenterprise.or.kr/atchFileDownload.do?menuId=BO04&seqNo=244918&fileSeqNo=245074
한국 사회적경제의 역사 - 예스24,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yes24.com/Goods/Detail/108461162
2011-2015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 5년 성과 및 향후 과제_ISBN적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wp-content/uploads/2016/12/2011-2015-%EC%84%9C%EC%9A%B8%EC%8B%9C-%EC%82%AC%ED%9A%8C%EC%A0%81%EA%B2%BD%EC%A0%9C-%ED%99%9C%EC%84%B1%ED%99%94-%EC%A0%95%EC%B1%85-5%EB%85%84-%EC%84%B1%EA%B3%BC-%EB%B0%8F-%ED%96%A5%ED%9B%84-%EA%B3%BC%EC%A0%9C_ISBN%EC%A0%81%EC%9A%A9.pdf
사회적경제지원센터소개 - 금천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geumcheon.go.kr/portal/contents.do?key=611
우리동이야기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496&bbsNo=38&nttNo=58386&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267
구정소식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3067&bbsNo=38&nttNo=58746&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332&integrDeptCode=
사회적경제 청년기획단 공모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496&bbsNo=38&nttNo=58746&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332
우리동이야기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496&bbsNo=38&nttNo=58765&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274
우리동이야기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512&bbsNo=38&nttNo=58887&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318&integrDeptCode=
동대문구 사회적경제기업 살리기 앞장 - 강원도사회적경제이야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gwse.tistory.com/2787
동대문구, 사회적경제기업 활성화에 주력 - CMB 대전방송,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www.cmbds.co.kr/ab-991-1151&category_1=B&tpa_index192=300&OTSKIN=layout_ptr.php&PB_1419151213=404
지역생태계현황 -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support-ecosystem
sehub.net,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wp-content/uploads/2020/03/fin_2019-%EC%84%9C%EC%9A%B8%EC%8B%9C-%EC%82%AC%ED%9A%8C%EC%A0%81%EA%B2%BD%EC%A0%9C-%EC%A1%B0%EC%A7%81-%ED%98%84%ED%99%A9-%EB%B6%84%EC%84%9D-%EB%B0%8F-%EC%A3%BC%EC%9A%94-%EC%84%B1%EA%B3%BC-%EC%97%B0%EA%B5%AC.pdf
물꼬를 튼 두 사람의 이야기②동대문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최근영 센터장(19/11/20),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200/?bmode=view&idx=8678813
동대문구, 사회적 경제 허브센터 조성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dm4you/221266337422?viewType=pc
심사보고서 수정안 조례안)강남구 사회적경제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gncouncil.go.kr/attach/council_text/278/278_3.pdf
보도자료 - 동대문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199&bbsNo=39&nttNo=63340&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02&integrDeptCode=
소개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0-1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지역창업자 위한 '원데이클래스' 연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13075
동대문구가 가르쳐주는 사회적경제 - 광주일등뉴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igj.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901
이필형 동대문구청장, 지역경제 챙기기 나서다 - 신아일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2362
이필형 동대문구청장, 지역경제 챙기기에 잰걸음[현장 구청장실 3편] - 동대문 이슈,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issue.com/news_view.jsp?ncd=8857
이필형 동대문구청장, 지역경제 챙기기 나서다 - 산경일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www.sankyun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93271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
사회적협동조합 동사경센터 - YouTube,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channel/UCmZuVW_xvo1VExm7FaddSfw
구정소식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3065&bbsNo=38&nttNo=60135&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192
컨설팅 사업부 - 이노밸류,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inno-value.kr/consulting/
사회적 경제 기업 대상 1:1 맞춤 컨설팅 지원 - 환경일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4484
사회적 경제 기업 대상 1:1 맞춤 컨설팅 지원 - 동대문구민신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www.xn--z92b13l34dhpao4wv9k.com/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1180500&gisa_idx=402081
우리동이야기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384&bbsNo=38&nttNo=166424
동대문구 ESG경제지원센터 <2024년 사회적경제 주민교육> 신청 안내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ddm4you&logNo=223563933450
동대문구 ESG경제지원센터 <2024년 사회적경제 주민교육> 신청 안내 - 웰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welfarehello.com/community/hometownNews/7d3ae0fc-1fa8-4e3f-b122-b1f08916c307
[서울뉴스]동대문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창업 준비교육 실시 - YouTube,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3do16WuoEHg
알기 쉬운 사회적 경제기업 설립상담 서비스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dm4you/222232900269
보도자료 - 동대문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199&bbsNo=39&nttNo=63372&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99&integrDeptCode=
동대문구가 가르쳐주는 사회적경제 - 티뉴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t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76337
꿈틀 청년, 로컬 활력 _ 도시혁신과 사회적경제의 동력 - 매거진 DDM - 스티비,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ddmse.stibee.com/p/3
2024 사회적경제 주민교육 모집 공고(동대문구 ESG경제지원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camevent/2024-%EC%82%AC%ED%9A%8C%EC%A0%81%EA%B2%BD%EC%A0%9C-%EC%A3%BC%EB%AF%BC%EA%B5%90%EC%9C%A1-%EB%AA%A8%EC%A7%91-%EA%B3%B5%EA%B3%A0%EB%8F%99%EB%8C%80%EB%AC%B8%EA%B5%AC-esg%EA%B2%BD%EC%A0%9C%EC%A7%80
동대문구 ESG 경제지원센터, '2024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파티' 성황리에 개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elaunch.kr/post/welaunch/qFiJq4AKeWhvYXpCT1Dh
“소상공인 돕고 지역경제 활성화”…동대문구, 잇다마켓 12일 열어 - 서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10584.html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동대문지역 소상공인 및 골목상권 활성화 된다 - 이로운넷,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40076
오마이컴퍼니, 동대문구 ESG경제지원센터와 지역 소상공인 및 골목상권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fcnews.co.kr/news/view.php?no=3596
(주)오마이컴퍼니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0-2/?bmode=view&idx=17748375
지역밀착형 경제 활성화를 위한 임팩트전략 컨퍼런스(2019/12/18)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8679358&t=board
동대문구 ESG 아이디어톤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0-2/?bmode=view&idx=24988487
[동대문구사회적경제지원센터] 미디어서포터즈 모집 | 공모전 대외활동-링커리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linkareer.com/activity/13544
지역소식 - 시민일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iminilbo.co.kr/news/articleList.html?page=470&total=9397&sc_section_code=S1N9&sc_sub_section_code=S2N38&sc_serial_code=&sc_area=&sc_level=&sc_article_type=&sc_view_level=&sc_sdate=&sc_edate=&sc_serial_number=&sc_word=&view_type=sm&pagenum=345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ocialenterprise.or.kr/social/board/view.do?pg=1&m_cd=D044&seq_no=245442&search_word=&search_type=&board_code=BO03&category_id=&com_certifi_num=&selectyear=&magazine=&mode=view
사회적경제 청년 서포터즈 참여자 모집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dm4you/222328897703
사회적경제백서 만들 동대문구 청년 찾아요! - 라이프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ifein.news/news/articleView.html?idxno=12371
사회적경제 소식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List.do?bbsNo=363&key=3827
2021 동대문구 소상공인의 사회적경제 전환을 통한 골목경제 활성화 프로젝트 협업체 모집 공고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3-1/?bmode=view&idx=8629381
사회적경제는 지금, 골목 활성화를 위해 소상공인들과 '의기투합' 중!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sehub/222564021827?viewType=pc
[골목경제활성화프로젝트④] 사회적경제로 동대문의 홍보를 책임진다! 여성 리더들이 만든 '인포레스트'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socialinvestmentfund/222544680069
자료실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0-5
2018년 동대문구 지역경제활성화 포럼 및 사회적경제한마당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0-2/?bmode=view&idx=8676565
[소식지] 2021 지역사회 민·민협력 컨소시엄 소식지 "[함께] 같이해요!-2월",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ddmplf&logNo=222294906103
동대문구민 필독 <2024 이렇게 달라집니다> 총 정리!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dm4you/223309823353?viewType=pc
2024 동대문구 ESG 아이디어톤 -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archives/2087317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동대문구ESG경제지원센터 <2024년 ESG 아이디어톤> 개최 - 웰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welfarehello.com/community/hometownNews/5ee27be0-575b-4c1e-bc53-74d215e52eec
새로운 시대, 사회적경제는 어디로 향하고 있나_동대문구 사회적경제기업 설문조사 결과,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dmse_/223695042483
「사회적경제 디딤돌매니저 사업」참여자 추가 2차모집 공고 -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archives/2040188
우리동이야기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480&bbsNo=38&nttNo=125082&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55
구정소식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selectBbsNttView.do?key=3069&bbsNo=38&nttNo=165535&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2
[기타] 2025년 <동대문구 청년정책네트워크> 제6기 위원 모집 - 카카오톡채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pf.kakao.com/_pYTIK/108954749
서울시 동대문구 구정소식 정보 -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data.seoul.go.kr/dataList/datasetView.do?infId=OA-12744&srvType=S&serviceKind=1¤tPageNo=1
동대문구 사회적기업,마을기업,협동조합 - 동대문구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contents.do?key=899
협동조합 설립현황 - COOP 협동조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oop.go.kr/home/state/guildEstablish.do?menu_no=2032
협동조합 설립현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oop.go.kr/home/state/guildEstablish.do?=&=&=&=&=&=&=&menu_no=2032&&page_now=420
주요 통계 - COOP 협동조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oop.go.kr/home/statistics/statistics1.do?menu_no=2035
협동조합 현황 - 주요통계,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oop.go.kr/home/status/sub04_2.jsp
Coop협동조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oop.go.kr/
주요 통계 - COOP 협동조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coop.go.kr/home/contentsInfo.do?menu_no=2035&tab_no=1
기획재정부_협동조합 설립현황 정보_20220628 - 공공데이터포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ata.go.kr/data/3034235/fileData.do
사회적협동조합 제품 우선구매 지침 - 성남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seongnam.go.kr:10002/fboard/common/download.php?cIdx=15&fboard=board_pds&num=264&actionMode=download&ff_idx=6534
사회적경제 설립 안내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4-1
동대문구 민선 8기 일자리대책 종합계획,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go.kr/www/downloadBbsFile.do?atchmnflNo=122233
[9기] 안성규 펠로우 – 빌라노 _드림스폰(dreamspon) | 아름다운가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beautifulstore.org/archives/story/9%EA%B8%B0-%EC%95%88%EC%84%B1%EA%B7%9C-%ED%8E%A0%EB%A1%9C%EC%9A%B0-%EB%B9%8C%EB%9D%BC%EB%85%B8%E3%88%9C_%EB%93%9C%EB%A6%BC%EC%8A%A4%ED%8F%B0dreamspon
지역사회 돌봄과 혁신 _ 사회적경제로 잇는 연결과 로컬 활력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dmse_/223720347889
주민이 주체가 되는 그날까지! 동대문구의 마을기업 문화플랫폼 시민나루 협동조합,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mopaspr/222292277571
역사와 운영원리 - 찻집 녹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nockone.co.kr/%EC%97%AD%EC%82%AC%EC%99%80-%EC%9A%B4%EC%98%81%EC%9B%90%EB%A6%AC
정부지원홈페이지제작,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govm.co.kr/view.php?keyword=&search_addr=&search_flag=&search_kind=&search_sts=&page=1&seq=PRV_7_16963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2024년 공공판로 경쟁력 강화 컨설팅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ocialenterprise.or.kr/social/board/view.do?m_cd=D044&board_code=BO03&category_id=CA31&seq_no=251100&pg=&search_type=&search_word=
제1회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톤 | 공모전 대외활동-링커리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linkareer.com/activity/64282
제1회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톤 - WEVITY(위비티) 공모전,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wevity.com/index_university.php?c=find&s=_university&mode=end&gbn=view&gp=1295&ix=52788
[기타]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조직 알림톡 서비스 신청 안내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dm4you/223846140301?fromRss=true&trackingCode=rss
2021년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ocialenterprise.or.kr/atchFileDownload.do?menuId=BO04&seqNo=246708&fileSeqNo=250067
기본계획,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eat.cnse.kr/app/board/do_download?md_id=policy_data&code=1246
동대문구, '2022년 사회적경제 투어' 개최 - 이코노믹포스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economicpost.co.kr/sub_read.html?uid=45098§ion=sc135§ion2=%EC%84%9C%EC%9A%B8%20Report
사회적경제기업, 구청장 소통 간담회 - 서울로컬뉴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112
동대문구, 2022년 사회적경제 투어 개최동대문 이슈,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dmissue.com/news_view.jsp?ncd=7691
[인터뷰] 이필형 동대문구청장"'4N CITY' 통해 동대문구 도시 경쟁력 강화할 것" - 아시아경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40807292100787
[인터뷰]이필형 동대문구청장 "'4N CITY'로 동대문 미래도시 도약" - 아시아경제,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40821382560152
서울특별시 공고 제2015,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oulboard.seoul.go.kr/comm/getFile?srvcId=BBSTY1&upperNo=8506&fileTy=ATTACH&fileNo=167954&bbsNo=277
[장학금 정보의 구글]국내최초 장학금 정보제공 서비스 '드림스폰' 개발자_경희대학교 경영학과 안성규 학생 - Naver Blog,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khublog/220221206919?viewType=pc
고객센터 - 장학금의 모든 것, 드림스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reamspon.com/customer/dreamcontact.html
자본감소 최고 및 주권제출공고 - 장학금의 모든 것, 드림스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dreamspon.com/customer/notice_view.html?idx=82
장학금 정보 제공 '드림스폰' - YouTube,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zEE6NOTgxnA
누군가의 터닝 포인트, '드림스폰' - 콘텐츠, IT로 구축한 장학금 플랫폼 - 네이버 블로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sehub/220742898734
서울시 - | 서울정책아카이브 Seoul Solution,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oulsolution.kr/sites/default/files/%EC%84%9C%EC%9A%B8%EC%9D%B4%20%EC%95%88%EA%B3%A0%EC%9E%88%EB%8A%94%20%EA%B3%A0%EB%AF%BC%ED%95%B4%EA%B2%B0,%20%ED%98%81%EC%8B%A0%ED%98%95%20%EC%82%AC%EC%97%85%2019%EA%B0%9C%20%EC%84%A0%EC%A0%95.hwp
대학생 '팽주'들이 운영하는 전통 찻집 '녹원'에 오세요 - 이로운넷,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29953
사회적협동조합 녹원 - 가치소비의 진심, e-store 36.5,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epp.or.kr/minimall/view/5046
찻집 녹원,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nockone.co.kr/
사회적 협동조합 녹원 – 제 8회 2024 서울숲 소셜벤처엑스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o-lan.sd.go.kr/?p=4339
사회적협동조합 녹원 – 제 8회 2024 서울숲 소셜벤처엑스포,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o-lan.sd.go.kr/?p=3685?id=post-152&height=400&width=1000
돌봄 문제, 사회적경제 조직 간 협력으로 해결한다 - 네이버 블로그 - NAVER,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ehub&logNo=220434729527&categoryNo=1&proxyReferer=&noTrackingCode=true
동대문구에 돌봄 걱정 없는 아파트가 있다 - 매일일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780626
동대문구, 단지 안 키움센터·주민 돌보미로 '돌봄 걱정 뚝!' - 서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7723.html
2018 동대문구 사회적경제 디자인 지원사업 시작 - 동사경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eastse.net/20220200/?bmode=view&idx=8675688
사회적경제, 전환기의 위기를 혁신의 기회로 - 매거진 DDM,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ddmse.stibee.com/p/4
동대문구, 밀고·당기고·함께 성장…사회적경제기업 간담회 - 천지일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427548
청년 도시 동대문구 ESG경제적 지원센터 최근영 센터장 인터뷰 - 한국시민기자협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www.civilreport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8436
동대문구, 도시재생 대상지 주거환경 개선에 박차 - 라이프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ifein.news/news/articleView.html?idxno=10372
서울 도시재생 사례를 통해 본 사회적경제 - 사단법인 상생나무,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www.jnsec.kr/bbs/board.php?bo_table=s_tour&wr_id=42&sca=%EC%82%AC%ED%9A%8C%EC%A0%81%EA%B2%BD%EC%A0%9C+%EC%9D%BD%EA%B8%B0&page=2
동대문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hub.net/archives/2051847?download=2051848
지역주도형 일자리사업 - 기업마당>정책정보>지원사업 공고,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bizinfo.go.kr/web/lay1/bbs/S1T122C128/AS/74/view.do?pblancId=PBLN_000000000082193
동대문구, 청년들의 성공적인 사회진출 위해 나선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ksen.co.kr/news/article.html?no=64471
돌봄 정책의 변화, 사회적경제의 '일상 돌봄' - 매거진 DDM,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ddmse.stibee.com/p/2
마을기업이란 - 경상북도청,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gb.go.kr/Main/open_contents/section/economy2020/page.do?mnu_uid=6210&LARGE_CODE=690&MEDIUM_CODE=30&SMALL_CODE=20&mnu_order=4
서울시 자치구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어떤 논의 있었나 - 라이프인,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www.lifein.news/news/articleView.html?idxno=10779
서울시 사회적경제 중기(2023년 ~ 2027년) 기본계획 - 서울지역협동조합협의회,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oulcoop.tistory.com/27
서울지역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 정책과 제도 개선을 위한 과제를 찾습니다, 5월 4, 2025에 액세스, https://seoulcoop.tistory.com/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