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으로 듣는 생활 속 공유경제(19/10/07)

‘에어비앤비’, ‘우버’, ‘소카’,‘위키디피아’...

위 단어들을 보시고 어떤 공통점이 떠오르시나요?

맞습니다. 바로...공유경제입니다.


오늘 날 전 세계의 경제성장이 주춤하면서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게 되었는데요

사서 쓰는 것보다 빌려 쓰는 것을 합리적이라는 인식이 증대하게 되면서 그렇게 태어난 것이 바로 공유경제예요

공유경제는 자원을 아껴쓰게 되므로 환경도 생각하는 장점도 있어요!


정보통신기술로 소비자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각종 플랫폼들이 생겨나면서 거래가 편해지게 되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공유경제는 물론이고 이와 비슷한 플랫폼 형태의 다양한 유사한 서비스들이 생겨나고 있지요!

예를 들면 자건거 공유 ‘따릉이’, 운송 플랫폼 ‘타다’, 공간 플랫폼 ‘스페이스 클라우드’ 등이 있겠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공유경제는 굉장히 보편화되어 있는데요,

여러분은 이 공유경제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또는 이 공유경제가 법적으로 어떤 갈등이 있는지는요?


동사경센터는 이러한 공유경제에 대한 이해는 물론 법적인 문제와 갈등들을종합적으로 짚어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바로... 법으로 듣는 생활 속 공유경제’입니다!





이번 교육은 생활속으로 스며든 공유경제를 법으로 알아보는 시간이라는 주제로

10월 7일, 14일, 21일, 28일 총 4회에 걸쳐 매주 월요일 오전 10:30 ~ 12:30 2시간씩 진행되요.





먼저 인문학협동조합 이후경 이사님이 이번 강의에 목적과 내용에 대해서 소개 말씀이 있었고요





이어서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김주현 강사님께서 ‘시장바구니 안에도 법이 있네(일상생활의 법과 관리)’

라는 주제로 1회차 강의를 시작했어요





먼저 헌법, 민법, 도로교통법, 폐기물관리법, 근로기준법 등 우리의 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설명해주셨고요.





우리가 가지고 있는 법에 대한 생각에 대해서 각자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어요

다음으로는 우리가 법에 대하여 고치고, 바꾸고, 찾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강의가 이어졌어요.





먼저 법제처에서 운영하는 국민참여 입법센터와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입법참여하고 법령 검색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려주셨고요





마지막으로 대한법률구조공단 132 콜센터와 각 동 주민센터 마을변호사 상담에 대해서도 알려주셨어요.

오늘 강의에서 이거 하나만 기억하면 성공, 법에 관한 문의는 대한법률구조공단 132 콜센터에서 문의하면 된다는거 절대 잊지 마세요!!

10월 14일(월)에는 요즘 뜨거운 이슈인 ‘타다’관련하여 여객자동차운송사업법에 대하여 알려주신데요


10월 한달 동안 이어지는 공유경제 강의!

추가접수가 가능하니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려요.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로 129(청량리동, 한신아파트 사회복지관 3층)|이사장 : 최근영 |사업자등록번호 : 454-82-00294
E-mail. master@eastse.net    TEL. 02-969-9936    FAX. 02-969-9937

😁 뉴스레터 구독 신청하세요(Click)😍 

ⓒ 사회적협동조합 동사경센터